Ⅰ. 서 론
B.C 200년과 A.D 200년을 중심에 그리스 시대의 처음 150년 동안에는 그리스 문화가 창조적이고 포용력이 있어 지중해 동부까지 지배적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고대 근동 문화의 부흥은 제1세기 기독교와 함께 동시대적으로 일어났다. 따라서 초대 기독교의 헬라화 배경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헬라화 된 시기의 철학적 체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복종을 요구했던 당시의 종교에 대해서도 염두하며 연구해야 하며 또한 문화적이면서 종교적인 요소에다 정치적이면서도 행정적인 면을 살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다신교적 로마-헬라세계가 가지고 왔던 고대 제(諸)종교들의 연구와 유대교와 기독교의 상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의 연구의 범위는 초대교회가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전 중간기부터 A.D. 1-2세기, 그리스 로마의 세계 속에서 있었던 종교적 상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 론
예수님께서 나신 때 로마 영토는 지중해 주변 나라들을 포함해 당시 알려진 문명 세계가 단일 문화 속에 들어와 있었다. 황제의 대권, 군대의 통어에도 불구하고 속국들은 대게 자치하며 조상의 풍속, 제도, 종교의식, 언어까지 계속했다. 예수님 때에 팔레스틴도 로마 영토로 총독 밑에 분봉왕들이 다스리며 종교의 자유를 누렸다. 또한 그 때 종교사상은 고대적이었다. 소수 철인들이 외의 일반 민중은 보이지 않는 초인적 세력들이 사람의 운명을 지배하는 줄 믿어 기도, 의식, 제사로써 그들을 달래려 했는데, 헬라시대와 로마 시대 종교의 일반적 특성은,
1)그리스-로마의 종교는 배타적이 아니었으며,
2)신들의 동일화로 신들의 수효가 줄고 일신론적 사상을 가져오는데 공헌했으며,
3)고전헬라 종교의 신인동성동형론은 힘의 숭배로 인해 약해 되었다.
4)반면, 덕이나 이익을 신격화하는 현상도 있었으며,
5)가장 높은 신(神)아래 작은 신들이 존재할 공간을 허용했으며,
6)작은 신들과 중간급의 권세들은 귀신들과 동일시되었기 때문이며 종교의 귀신화가 있었다.
7)운명의 힘은 제국의 초기에 매우 강하게 느끼고, 운명에 대한 믿음은 별들의 영향력에 대한 믿음과 흔히 연결되어 점성학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8)마술은 인간과 우주적 권세들과의 관계에 대한 또 하나의 인기있는 표현이었으며,
9)종교의 집단적 또는 사회적인 면은 그리스-로마 시대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 Adolf Martin Ritter, 고대그리스도교의 역사, 조병하, 기독교문사, 2003
· Donald Guthrie, 신약개론, 나용화, 박영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 Eduard Lohse, [신약성서 배경사], 박창건 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95
· Evertt Ferguson, 초대교회배경사, 엄성옥.박경범역, 은성출판사, 2005
· J.foster, 초대교회의 역사, 심창섭.최은수, 웨스트민스터출판부
· J.Gresham Machen, 신약개론, , 김효성, 성광문화사, 1992
· Joseph F. Kelly, 초대기독교인들의 세계, 방성규, 이레서원, 2002
· Robert H. Gundry, 신약개론, 김일우, 엠마오, 1997
· Wm. M. Ramsay, 사도바울,, 박우석, 생명의말씀사, 1994
· 김명혁, 초대교회의 형성, 성광문화사, 2000
· 김의환, 기독교회사, 성광문화사, 1982
· 류형기, 기독교회사, 한국기독교문화원, 1993
· 박형용, 신약개론, 아가페출판사, 1994
· Eduard Lohse, 신약성서 배경사, , 박창건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97
· 유상현, 사도행전 연구, 대한기독교서회, 1996
· 유스토 곤잘레스, 기독교사상사-고대편(1), 이형기, 차종순,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 유스토 곤잘레스, 초대교회사, 서영일, 은성, 1988
· 이대섭, 초기독교의 역사적 배경, 성광문화사, 1989
· 조명은, 기독교와 로마제국, ESP, 1999
· 최형걸, 초대교회사,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 호크마 종합주석, 강병도편, 기독지혜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