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최초 등록일
- 2006.06.09
- 최종 저작일
- 2006.06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원

판매자eye*******
15회 판매

소개글
아동의 인지 발달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은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이다. Piaget는 지식의 기원과 발생, 즉 발생적 인식론에 관심을 갖고 아동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무엇을 알게 되고 어떻게 알게 되는가를 밝힘으로써,
목차
1.인지발달의 정의
2.장 피아제는?
3.주요개념
1)도식
2)조직화
3)동화
4)조절
5)적응
6)평형화
7)자아중심성
5.인지발달의 단계
1)감각운동기
2)전조작기(2~7)
3)구체적 조작기(7세에서 12세까지)
4) 형식적 조작기(12세에서 성인까지)
6.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자아중심성의 변화
7. 각 단계별 비교
8. 피아제 이론의 비판점
본문내용
1) 도식 : 태어나면서부터 갖고 나오는 인지구조로 반복될 수 있는 정신과 행동의 유형.
ex) 빨기 도식, 유목화 도식, 조작적 도식
도식은 기본적인 인지적 단위이다. 이 복합적인 개념은 정신적 조작, 즉 특정 상황에 대한 아동의 개념화와 눈에 보이는 행동,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한다. 도식은 도식이 포함하는 행동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어린 아동의 정신구조는 빠는 것과 같은 단순한 동작과 빛, 어둠을 인식하는 단순한 지각들로 구성된다. 그러다가 점차 신경 조직의 성숙과 경험에 의해 이러한 지각이 확대된다. 이처럼 환경을 인식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도식이라 부른다. 즉, 다시 말해 도식이란 세상에 대한 이해의 틀이다. 아동이 가진 초기의 도식은 매우 단순하지만, 성장하면서 점차 개념적. 조작적으로 확대된다.
2) 조직화 : 생각을 이치에 맞는 체계로 만드는 것.
조직화와 적응은 두 가지의 일반 원칙으로, 인지 발달의 전체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 원칙들은 어느 단계에서도 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능적 불변 요인들이라고 한다.
조직화는 모든 과정을 하나의 전체 체계를 통합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영아의 초기 보기 도식과 파악 도식은 아주 다른 것이어서, 손과 눈의 협응에 실패한다. 그러나 점차 이 도식을 조직하여 결국은 사물을 동시에 보고 잡을 수 있게 된다.
3) 동화 : 대상이나 정보를 자신의 인지구조로 흡수하는 것.
Piaget에 의하면 구체적인 상황에서 유기체 활동은 두 가지 상반된 경향-동화와 조절-으로 특징지워진다. 동화는 자기 보존의 경향으로서 환경 자극들을 이미 지니고 있는 개인의 행동이나 체계 속으로 흡수, 통합하려는 경향이다. 동화(assilmilation)는 환경과의 상호 작용시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을 이미 지니고 있는 자신의 현재의 행동, 정신체(도식)에 일치, 조화시킨다는 것으로서 사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라 하였다. 개인은 현실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동화 과정에서 현실 사상에 대하여 약간의 수정과 왜곡을 하게 되고 자신의 과거 이해에 맞춘다. 예컨대, 학생은 교사의 강의 내용을 자신의 이해 수준에 맞추어 이해한다는 것이다. 동화는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인지적 작용이다.
참고 자료
남출판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인정,최해경 공저
학지사, 피아제가 보여주는 아이들의 인지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