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국어문법론 국어음운론 국어교재연구법]국어교육 문법 교수학습 지도안
- 최초 등록일
- 2006.06.08
- 최종 저작일
- 2006.06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hos****
33회 판매
소개글
국어 음운과 정서법 강좌때 작성한 레포트 입니다.
교육 실습 후 문법 교수 학습 지도안을 세안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국어교육 전공자나 국어 교직이수 전공자에게 도움이 될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역개관
2. 단원관
3. 지도관
4. 교수-학습 지도안
본문내용
1. 성격
‘문법’은 국민 공통 기본 [국어] 교과의 ‘국어 지식’영역의 학습 내용을 심화, 발전시킨 과목이면서, 동시에 일반 선택 과목인 ‘국어 생활’과도 교육 내용과 교육 목표 면에서 연계성을 지니고 있는 과목이다. 학습자는 이러한 ‘문법’과목을 배움으로써, 국어를 통해 언어의 본질과 언어와 인간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게 된다. 또, 언어 구조체로서의 국어를 탐구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해하며, 실제 국어 생활에서 국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며, 국어를 사랑하고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니게 된다.
문법 과목의 교수·학습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한다.
가. 규범적 개념 그 자체를 다양한 국어 탐구의 대상으로 전환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즐거움, 발견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게 해 주는 방향으로 교수·학습 전략을 세운다.
나. 모든 교수·학습 활동은 실제 문장, 유명 작품, 신문 기사, 방송 대본 등 실제 언어 장면에 나타난 생생한 사례를 가지고 흥미로운 탐구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 문장을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직접 작문을 하거나 작문한 문장을 고치는 활동을 통해서 문법 과목의 여러 내용이 자연스럽게 학습될 수 있도록 한다.
l. 단원 설정의 취지
최근 우리의 국어생활을 살펴보면, 언어의 기본적인 목적인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의사소통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확한 발음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단원에서는 ‘음운과 음운체계’, ‘음운의 변동’으로 단원을 나누어, ‘말소리’를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한다. 말소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언어의 전반적인 구조를 이해하는 토대가 되며, 실생활에서 올바른 발음학습을 위한 기초가 된다.
이 단원에서는 음성과 음운, 국어의 음운 체계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국어 말소리의 체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서 올바르게 적용하려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