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우리나라 전통 우주관의 현대적 의의
- 최초 등록일
- 2006.06.08
- 최종 저작일
- 2005.1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shu****
18회 판매

소개글
시험대체레포트여서 풍부한 내용을 담으려고 노력했고
좋은 성적을 받았습니다.
참고문헌을 알차게 활용했고 인용부분이 잘 표시돼 있으니까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3.1 우주 기원론
3.2 우주 구조론
3.2.1 개천설
3.2.2 혼천설
3.2.3 선야설
3.2.4 성리학적 우주관
3.2.5 서양 천문학의 전래
3.3 한국 문학과 신화에 나타난 우주관
4. 한국 전통 우주관의 현대적 의미
5.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우리 나라는 엄밀한 의미의 창세신화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사료들에서 세상의 시작에 대하 무에서 유가 생겨나는 창조형보다는 혼돈에서 질서가 생기는 진화형 우주 기원론을 드러나고 있다. 우주 구조론에 있어서는 우리 독자적으로 발전하기 보다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고 하겠다. 중국에서 새로운 설이 제기되면 그 후에 그 설을 이해하는 식이었는데, 대체로 중국 우주론의 흐름을 따라 개천설, 혼천설, 성리학적 우주관을 지났다. 조선 후기에는 역시 중국을 통해 서양의 천문학을 접하게 되면서 지전설, 지원론 등이 등장하게 된다. 주체적인 학문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중국과 서양의 학문을 기반으로 발전해 온 모습은 지금 서구의 학문을 따라가고 있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또 정치의 지배를 받아 창조적인 천문학보다는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일에만 몰두했던 점 역시 정치․군사적 의도가 짙은 오늘의 우주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단순히 외국의 학문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전된 문물을 인정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려던 노력들과 하늘과 우주가 인간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믿었던 점은 계승할 만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김재용․이종주, 왜 우리 신화인가, 동아시아, 1999
박창범,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김영사, 2002
유안진,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이종은․정민, “한국문학에 나타난 한국인의 우주관”, <한국학 논집> 30권, 1995
정성희, 우리 조상은 하늘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책세상, 2000
http://ruby.kisti.re.kr/~anastro/idea/idea2/idea2_5.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