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죄수의 딜레마에 관한 사례찾기
- 최초 등록일
- 2006.06.05
- 최종 저작일
- 2006.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skyt****
62회 판매
소개글
죄수의 딜레마에 대해 다루고, 그 유사사례를 찾은 보고서입니다.
목차
1. 죄수의 딜레마 개념
2. 기존 수요공급 개념과 다른 점
3. 유사사례
본문내용
이 죄수의 딜레마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선택만이 아니라 상대방의 선택도 자신의 형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것을 이제 죄수 A의 입장에서 바라보자. 죄수 A는 아마 인정과 부인이라는 선택을 하기 위해 죄수 B가 어떤 선택을 할 지 생각해 볼 것이다. 만일 죄수 B가 범행을 인정한다면, 죄수 A는 범행을 인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범행을 부인하면 15년, 범행을 인정하면 6년형을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죄수 B가 범행을 부인한다고 해도, 죄수 A는 범행을 인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범행을 부인하면 3년, 인정하면 무죄를 선고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인정’을 게임용어로는 우월전략이라 할 수 있다. 죄수 B의 선택에 상관없이 죄수 A에게는 인정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결과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죄수 B의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죄수 B에게도 우월전략이 ‘인정’이므로, 결국 둘 다 범행을 인정할 가능성이 높고 그렇다면 둘 다 6년형을 받게 된다. 이렇게 서로가 우월전략을 선택해서 이루어진 균형을 내쉬균형이라고 한다. 내쉬균형은 각 기업이 상대방의 전략을 감안해서 그에 대한 최선의 전략을 선택해 이루어진 균형상태를 뜻한다. 이렇게 놓고 보니, 둘 다 우월전략을 선택했으나 모두 ‘부인’하는 경우보다 더 큰 형량을 받게 되었다. 사실 둘 다 부인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을 죄수들도 알지만, 차마 ‘부인’을 선택하지 못한다. 이것은 서로 자기에게 유리한 방향만을 이기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