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 강수돌, [강수돌 교수의 ‘나부터’교육혁명], 그린비, 2003. 7. 20.
· 고승덕,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 학문사, 2002. 12. 20.
· 교육부, [한국의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1995.
· 김완서, 이영덕 공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8.
· 김윤섭, [지식사회의 정신적 인프라], 학문사, 2001. 1. 15.
· 김인식, 최호성 공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1.
· 김인식, 최호성 공저, [최신 교육과정 및 평가(수정,증보판)], 교육과학사, 1996.
· 박도정, 변영계 공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1995. 11.
· 신동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4.
· 오성삼, 구병두 공저,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해], 양서원, 1996.
· 오성삼, 구병두, 양영선 공저, [교육학의 이해], 양서원. 1996.
· 윤영선, [함께 읽는 교육학 이야기], 다산, 2002. 7. 30.
· 이돈희, [국가 공통 절대 평가 기준 일반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12.
· <정기간행물>
· 김진숙, [미국의 기준 운동에 비추어 본 한국의 절대평가 기준 개발], 교육과정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Vol.17 No.2, 1999. pp.339~362(24쪽)
· 이순목, 안덕선, 이동희, [절대평가에 대한 탐색 연구], 人事管理硏究, 韓國人事管理學會,
· Vol.23 No.2, 1999. pp.1~42(42쪽)
· 지은림, [절대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 연구소, Vol.14 No.1, 1998. pp,155~164(10쪽)
· <인터넷 자료>
· http://cafe.naver.com/afull.cafe?iframe_url=/AritcleRead.nhn?articleid=7
· 에 있는 조행론(형태).doc 파일
· 교육평가의 이론과 동향 (국가전문 행정연구원 교수 김진규)
· 교육평가 (초등임원교육원)
· 교육학개론 (안산대학교 교육학과)
· http://100.naver.com/100.php?id=87076
· 상대평가의 사전적 의미
· 네이버>백과사전>사회과학>교육일반
· http://100.naver.com/100.php?id=135361
· 절대평가의 사전적 의미
· 네이버>백과사전>사회과학>교육>교육정책 및 행정
·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menu=c10500&no=170105&rel_no=1&back_url=
· [주장]대학학점‘상대평가제’문제많다.
· 박규덕 기자
· http://classroom.kice.re.kr/gen_content01/2/7/2/1861
· [KICE 교수- 학습개발센터]검색>KICE교수-학습개발센터>교육평가>평가의 이론 및
· 실제>학교학습 평가
· <사이트 참고문헌>
· 황정규(1973), 학습극대화를 위한 교육평가, 서울:재동문화사.
· Bloom, B. S.(1971). Individual differences in school achievement a vanishing
· point, Education at Chicago, Departmaent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university of Chicago, Winter, 4~14
· Cronbach, L. J.(1957). Two disciplines of scientific psychology, American
· Psychologist, 12, 671~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