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shock환자 임상실습생]shock환자의 임상

shock은 단순한 질병이 아닌 임상증후군입니다. 세포대사에 필요한 혈류와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로, 그것의 종류,단계,전신에 걸친 임상적 징후, 치료원칙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의료인이라면 shock에 대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서울대 병원 중환자실에서 컨퍼런쓰할때 쓴것입니다. 유용하게 이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4.30 최종저작일 2006.04
9P 미리보기
[shock환자 임상실습생]shock환자의 임상
  • 미리보기

    소개

    shock은 단순한 질병이 아닌 임상증후군입니다.
    세포대사에 필요한 혈류와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로,
    그것의 종류,단계,전신에 걸친 임상적 징후, 치료원칙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의료인이라면 shock에 대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서울대 병원 중환자실에서 컨퍼런쓰할때 쓴것입니다. 유용하게 이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I. Shock 의 정의
    II. Common Cellular Changes in shock
    III. 순환체계의 3가지 기본요소
    ① Cardiac pump
    ② Circulatory blood volume
    ③ Vascular system (areries, veins, microcirculation)
    IV. Shock 의 단계
    1. 초기 단계
    2. 보상 단계
    1) 신경보상기전
    2) 호르몬 보상기전
    3) 보상단계의 증상
    3. 진행 단계
    4. 치료불응단계(비가역적단계)
    V. Shock의 분류
    1. Hypovolemic shock
    2. Cardiogenic shock
    3. Distributive Vasogenic shock(분배성 쇼크)
    VI. Clinical Assessment of shock
    1. Physical findings
    1) Classic sign of shock
    2) 신경학적 증상
    3) 호흡
    4) 심장혈관
    5) 위장관
    6) 신장계
    7) 근 골격계
    8) 피부

    2. Hemodynamic monitoring

    VII. Shock 의 치료 및 간호원칙
    1. Shock의 치료
    1) 지지적 치료
    2) 직접 치료
    2. Shock 환자 치료의 원칙

    본문내용

    3. 진행 단계
    ˚ 심한 hypoperfusion으로 multiple system organ failure 초래
    ˚ 보상기전으로 주요장기에 혈액관류를 유지시킬 수 없다.
    ˚ 모세혈관의 자기조절능력 상실과 모세혈관 투과성의 증가 →
    심실충만 감소 → C/O 감소 → BP 감소 → 관상동맥관류 감소 →
    부정맥, 심근허혈/경색 → 심기능 더욱 악화 → 다른 장기에도 관류저하
    ˚ 모세혈관의 hypoxia로 인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와 영양결핍.
    ˚ 장으로 유입되는 혈액 감소 → endotoxin의 형성과 흡수를 증가
    ˚ 세포 관류 저하 → 나트륨과 칼륨을 세포막에 전달하는 활동을 저하
    → 세포내에 나트륨이 증가되어 세포부종을 초래.

    ◎ 진행단계의 증상
    -BP(SBP < 80~90torr), HR(> 150회/min-peripheral pulses:매우 weak),
    RR↑(shallow depth), Skin(cool, cyanotic, mottled), Urine↓(<20 ml/h),
    Bowel sound↓(absent), pupil: dilated
    Lab) S-amilase↑, S-lipase↑, OT & PT↑, LDH↑, CPK↑, BUN & Cr↑,
    PaO2↓, PaCO2↑, PH↓, HCO3↓

    4. 치료불응단계(비가역적단계)
    -Shock이 마지막 단계로 shock 상태는 너무 심각하고 세포의 파괴도 심해 사망이 불가피한 단계이다.
    -잠깐 동안 증세가 호전되었다 해도, 조직이 손상이 광범위하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

    V. Shock의 분류
    1. Hypovolemic shock
    : 순환 혈액량의 부족으로 수액이 혈관을 모두 채우지 못하여
    혈류와 조직관류가 감소
    1> 원인
    ˚ Internal fluid shifts : 출혈, 심한 구토 및 설사, 탈수 등
    수액이 혈관 밖으로 빠져 나가 수액이 세포간질에 고이는 경우.
    ˚ External fluid loss : W/B loss, Plasma loss, 체액손실 장폐색증, 화상 등
    세포 내액
    (체액량의 2/3)
    혈관내액 25%
    세포간질액 75%


    2> 증상
    ① 세동맥 수축(BP↓, Cardiac output↓)
    ② 심박출량 감소
    ˚ 정맥 환류의 정체로 정맥 수축 → CVP 5cm이하로 감소
    ˚ 간질 → 혈관내로 체액 이동하여 Hb↓
    ˚ 교감신경자극 → 빈맥, 과호흡, 차고 끈적한 피부, 발한,
    핍뇨(20ml/hr↓), 의식의 장애
    ③ 심한 혈관 수축 - 전신적 세포 손상
    ★ 비가역적 손상 : 뇌 > 심장 > 신장

    참고자료

    · 김노경 내과학 고려의학 2003
    · 이영우 편저 순환기학 일조각 2001.8.20 p 217~226
    · 전시자 공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0.8.01
    · 중환자 간호과정(서울대병원) p 149~ 166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판매자 설정표지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