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미국의 대한원조관계자료 제2집』, 국회입법참고자료 제37호.
·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사이밍턴위원회 청문회의사록』, 국회입법참고자료 제140.
· 미하원 국제관계위원회 국제기구소위원회 편, 『프레이저보고서』, 실천문학사, 1986.
· 유인호, 『한국경제의 실상과 허상』, 평민사, 1972.
· 변형윤ㆍ김윤환 편저, 『한국경제론』, 유풍사, 1977.
· 임종철, 『근대화의 이념과 한국경제』, 명진, 1978.
· 박현채, 『민족경제론』, 한길사, 1978.
· 한국개발연구원 편, 『한국경제 사회의 근대화』, 한국개발연구원, 1981.
· 隅谷三喜男, 『한국의 경제』, 한울, 1985.
· 이내영 편, 『한국경제의 관점』, 백산, 1987.
· 대동편집부 편,『민족과 경제』, 대동, 1989.
· 한기영, 『한국사회 성격논의』, 대동, 1989.
· 고준석, 『한국경제사』, 동녘, 1989.
· S .S. 수슬리나, 『남한경제론』, 솔밭, 1989.
· 정성진, 『한국사회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0, 167~170쪽.
· 서울사회과학연구소 경제분과, 『한국에서의 자본주의의 발전』, 샛길, 1991.
· 박희범, 「제도변혁과 구조개혁-경제적 측면에서 본 근대화개념」, 『동아문화』3, 1965.
· 이규동, 『외자도입과 국내경제』, 청맥, 1965.8.
· 정내수, 『누구를 위한 수출인가』, 청맥, 1965.11.
· 정윤형, 「한계점에 도달한 고도성장의 경제질서」, 『월간 다리』1972년 1월호.
· 정윤형, 「경제학에서의 민족주의의 지향」, 『한국민족주의론』 1, 창작과비평사, 1982.
· 이대근, 「차관경제의 전개」, 『한국자본주의론』, 까치, 1984.
· 이대근, 「한국자본주의 성격에 관하여-국가독점자본주의에 부쳐」, 『창작과비평』 부정기간행물 1호, 창작과비평사, 1985(『한국사회구성체논쟁』1, 죽산, 1989).
· 박현채, 「한국사회의 성격과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한국자본주의 성격을 둘러싼 종속이론 비판」, 『창작과비평』, 부정기간행물 1호, 창작과비평사, 1985(『한국사회구성체논쟁』1, 죽산, 1989).
· 정윤형, 「유신체제와 8.3조치의 성격」, 『한국경제론』, 까치, 1987.
· 전철환, 「한일회담과 대외지향적 개발의 정착」, 『한국경제론』, 까치, 1987.
· 김대환, 「국제경제환경의 변화와 중화학공업의 전개」, 『한국경제론』, 까치, 1987.
· 김병식, 「남조선경제는 미ㆍ일 2중 종속구조의 경제」, 『사회과학』, 1987.4(『사상문예운동』 1989년 겨울호).
· 윤소영, 「80년대 한국 경제학계의 연구동향과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 『80년대 한국인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 역사비평사, 1988(『한국사회구성체논쟁』 1, 1989).
· 정성진, 「한국자본주의에서 축적과 재생산의 구조변화」, 『사상문예운동』1989년 겨울호.
· 안병직, 「중진자본주의로서의 한국경제」, 『사상문예운동』 1989년 겨울호.
· 정성진, 「독점강화론 비판-한국자본주의의 성격에 부쳐」, 『동향과전망』, 1990년 겨울호.
· 양원태, 「한국자본주의의 이론적 실증적 쟁점」, 『현실과과학』 1991년 9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