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현, 예배와 생활의 일치를 위한 교회갱신, 아세아 연합신학대학원, 1983
· 김태우, 다락방 20가지 전도전략에 대한 연구, 총회신학교(전도총회) 2004
· 박병업,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열린예배 비판, 안양대신학대학원, 2003
· 백천기, 공예배 의식에 관한 연구, 아세아 연합신학대학원, 1984
· 이철준, 개혁주의 입장에서 본 한국교회와 예배갱신에 관한 고찰, 국제신학대학 원, 2002
· 허성호, 열린예배의 가능성과 한계, 기독교 대한 성경교회, 1997
· 가홍순, 성만찬과 예배갱신, 나단, 1994
· 김기현, 한국교회의 예배생활, 양서각, 1984
· 김순환, 21세기 예배론, 대한기독교서회, 2003
· 김소영, 예배와 생활, 대한 기독 출판사, 1982
· 김재준, 한국의 재래종교와 그리스도, 대한기독교서회,1967
· 류광수, 전도와 선교를 중심으로 본 레위기 강해, 생명,
· 맹용길, 예식서,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부, 1984
· 박영근, 김진년, 멀티미디어 예배의 전망과 의미, 성지출판사, 2000
·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90
· 21세기의 예배, 대한기독교서회, 2004
· 박창완외 3인, 어떤 예배를 드릴 것인가?, 대한기독교서회, 1979
· 박영근․김진년 편저, 멀티미디어 예배의 전망과 의미, 영상 예배와 멀티미디어 교회교육, 성지출판사, 2000
· 송인규, 아는 만큼 누리는 예배, 홍성사, 2003
· 유동식, 한국 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5
· 임태종, 예배의 개혁 멀티미디어 예배, 국민일보, 2000
· 용석범․김진년 편저, 교육 목회를 위한 프리젠테이션 활용법, 영상예배와 멀티미 디어 교회교육, 성지출판사, 2000
· 조기연, 한국교회와 예배갱신, 대한기독교서회, 2004
· 장성영, 그리스도 예배의 원리, 홍익제, 1995
· 예배와 성례전, 태광출판사, 1994
· 정용섭, 예배를 예배되게 하라, 쿰란출판사, 2001
· 그리스도교 예배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78
· 교회갱신의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출판사, 1980
· 정장복, 예배학 개론,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1985
· 최운용, 부흥을 위해 예배와 찬양을 갱신하라, 기독교문서선교회
· 판도른, 언약적 관점에서 본 예배의 아름다움, 학생 신앙운동 출판부, 1994
· James F. White, 예배의 역사, 쿰란출판사, 1997
· Franklin M. Segler, 예배학 원론, 요단출판사, 1989
· 목회학 개론, 요단출판사, 1977
· 앨리슨 시워트 외 3명, 예배핸드북, 낮은 울타리 미디어 사업본부, 2001
· 존 맥아더, 참된 예배, 두란노 1986
· 레이몬드 아바, 기독교 예배의 원리와 실제, 대한 기독교 서회, 1974
· J.J. von allmen, 예배학 원론,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79
· 에드 답슨, 열린 예배 실습 보고서, 홍성사, 1998
· 목회와 신학 , 서울 두란노 서원, 1997년 4월호, 통권94호.
· -----------, 김만형, 열린 시대를 위한 열린 예배론.
· -----------, 손종태, 구도자 예배란 무엇인가.
· -----------, 이상규, 김요셉, 구도자 예배가 가진 예배적 약점.
· -----------, 김기영, 미국 교회의 구도자 예배의 현황과 흐름.
· 국민일보, <교회를 떠나는 청소년 이유가 있다>, 1999년 1월 18일 22면
· 헬라어 신약성경, 김한수 편저, 세풍성경연구소, 1995
· www.jcking.net 세계복음화 전도협회 다락방 메세지.
· www.internetchurch21.com 사이버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