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동양사상]육구연의 심즉리 체계 (陸九淵의 心卽理 體系)

육구연의 심즉리 체계에 대한 사료적 자료들을 근거로 작성한 리포트 입니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1.02 최종저작일 2005.11
13P 미리보기
[동양사상]육구연의 심즉리 체계 (陸九淵의 心卽理 體系)
  • 미리보기

    소개

    육구연의 심즉리 체계에 대한 사료적 자료들을 근거로 작성한 리포트 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사상적 배경

    3. 주자학 이론체계의 성립과정
    1) 定論을 확립하기까지
    2) 정론의 확립

    4. 주희와 육구연의 교류

    5. 주희의 육구연 비판

    6. 육구연의 심즉리 체계
    1) 우주와 인간, 그리고 動靜을 관통하는 道
    2) 惡의 문제에 관해-異端論
    3) 본심의 회복-수양론

    7. 결론

    본문내용

    陸九淵(1137-1193. 號는 象山, 字는 子靜)은 성리학 체계의 완성자인 朱熹(1130-1200)의 대표적인 論敵이자, 陽明學의 선구자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상사적 비중에 걸맞지 않게 육구연 자신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송대의 대부분의 학자들이 그렇듯이 육구연도 또한 주희라고 하는 스펙트럼을 통해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宋元學案}을 비롯한 많은 관련 서적들에서 육구연의 사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그와 주희 사이에 있었던 두 차례의 유명한 논쟁만을 다루고 있다. 물론 이 유명한 논쟁이 두 사람 사이의 차이점을 선명히 드러내주는 매우 중요한 사건임에는 틀림 없다. 그러나 주희의 사상이 이 두 차례의 논변만을 통해서 설명되는 것이 아니듯이 육구연의 사상도 또한 그러하다. 따라서 육구연의 사상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그 자체로서 뿐 아니라, "나무에 가리워서 숲을 보지 못하는" 경향이 강했던 주희 사상에 대한 연구를 보다 객관적인 의미에서 조명해본다는 점에서도 커다란 의미가 있다.
    주희가 "이상적인 도덕성은 인간의 본래성에 완전히 갖추어져 있다(性卽理)"고 주장한 것에 반해, 육구연은 "이상적인 도덕성은 인간의 현실적인 마음에서 완전히 발휘될 수 있다(心卽理)"고 주장한다. 주희는 육구연을 禪이라고 비난한다. 주자학의 체계에서 바라보면 분명 그렇게 말할 수 있다. 문제는 주희가 사용하는 心·性·情 등의 개념과 육구연의 개념이 같지 않다는데 있다. 이 점은 육구연이 역으로 주희를 異端이라고 비판하는 맥락을 살펴보는 가운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사상적 배경과 주희가 定論을 확립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육구연의 학문은 주자학의 主知主義的 경향에 대한 반발이므로, 주자학에서 어떠한 이유와 과정을 통해 이런 경향을 가지게 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陸學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기존 연구의 핵심적 내용인 두 사람 사이의 교류, 그리고 육구연에 대한 주희의 비판을 살펴봄으로써 이런 연구 경향은 전적으로 주희의 입장에서 육구연을 곡해한 것임을 보일 것이다.

    참고자료

    · <참고문헌>
    · {陸象山全集}, 北京, 中華書局, 1992
    · {朱熹集}, 成都, 四川敎育出版社, 1996
    · {二程集}, 漢京文化事業有限公司
    · {宋元學案}, 臺北, 新文豊出版公社, 1987
    · 徐復觀, {中國人性論史},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90
    · 束景南, {朱子大傳}, 福建敎育出版社, 1992
    · 錢穆, {朱子新學案}, 臺北, 學生書局, 1980
    · 陳來, {朱熹哲學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8
    · 島田虔次, 김석근 역,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90
    · A. C. Graham, Two Chinese Philosophers, London, Lund Humphries, 1958
    · Chung Tsai-chun,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s of Heaven and Man in the Philosophy of Chu Hsi, 臺北, 中央硏究院 中國文哲硏究所, 1993
    · Richard Taylor, 엄정식 역, {形而上學}, 종로서적, 1988
    · Wing-tsit Chan, Chu Hsi and Neo-Confucianism,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6
    · 손영식, [송대 신유학에서 철학적 쟁점의 연구], 서울대 철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3
    · 안점식, [張載의 氣 철학에 있어서 天人合一의 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1987
    · 장원목, [北宋 性理學에 있어서 有와 無의 문제], {철학논구}, 25집, 서울대 철학과, 1997
    · 장원목, [性理學 本體論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