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춘, 2001, `시민운동과 `민족`, `민족주의``, 참여사회연구소 가을 심포지엄 자료집, 11.10.
· -----, 2000, `한국 사회운동의 현주소`, 황해문화, 겨울.
· 김정훈, 2000, `시민사회의 두 얼굴: 무책임 사회와 진보적 공론영역`, 학술단체협의회 편, {전화시대의 한국사회}, 세명서관.
· 김호기, 2001. `국가와 시민사회: 시민사회의 유형화와 `이중적 시민사회``, 참여사회연구소 가을 심포지엄 자료집, 11.10.
· 김호기, 1999, {한국의 현대성과 사회변동}, 나남.
· 민주화운동자료관 편, 2000, {한국 민주화운동의 전개와 구조}, 성공회대학교 출판부.
· 박원순, 2001, `한국 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고민과 대안`, 참여사회연구소 가을 심포지엄 자료집, 11.10.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칭) 준비위원회, 2001, `공동 연대과제 선정을 위한 워크샵` 자료집, 2.9-10.
· 이해영, 황기돈, 1998, `시장과 공공영역 - 신자유주의 공세와 한국사회의 공공성의 위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외 주최 `21세기 한국사회와 공공영역 구축의 전망토론회` 발표문.
· 조대엽, 2001, `새로운 조정기제로서의 시민사회와 그 과제`, 한국정치학회·한국사회학회 공동학술회의, `한국사회의 대변환: 국가·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자료집. 11.23.
· 조현연, 2001, `한국 시민운동의 2000년 활동평가와 2001년의 과제 - `성공의 신화화` 경향에 대한 `자기합리화의 족쇄`로 부터의 창조적 탈주를 통한 `차이속의 (수평적) 연대 구축`, 참여사회연구소 13차 정책포럼 자료집, 1.20.
· 조희연, 1998,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 보수·자유·진보의 개방적 경쟁을 위하여}, 당대.
· -----, 1999, `참여연대 5주년의 평가와 반성`, {한국 시민운동, 21세기 대안을 찾아서}, 참여연대 창립 5주년 기념 심포지엄자료집.
· -----, 2000,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역동적 상관관계로 본 한국 민주주의의 변화`, 한국 산업사회학회 주최 `2000 비판사회학대회` 발표문.
· -----, 2001, `NGO 활동 평가와 전망, 그 과제-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의 과제를 중심으로`,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준비위원회 주최 `공동연대과제 선정을 위한 워크샵` 자료집.
· 차명제, 2001, `정치개혁 과제와 시민운동의 정치세력화 문제 - 한국 정치의 후진성과 민사회의 기대에 대한 기대`, 참여사회연구소·민주사회정책연구원 공동심포지엄 자료집, 9.28.
· 최장집, 1996,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출판.
· -----, 1997, `한국 민주화의 특성과 질높은 민주주의의 건설을 위한 과제`, 한국정치학회·한국사회학회 주최 `한국민주화 10년: 평가와 전망` 발표문.
· -----, 2000, `한국의 민주화, 시민사회, 시민운동: `2000년 총선 시민연대` 시민운동의 의의`, 한국정치학회 기획학술회의 `21세기 한국 정치학의 쟁점과 과제` 자료집.
· Habermas. J. 1991,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idge: The MIT Press.
· Koo, Hagen, 1993, `Strong State and Contentious Society`, in Hagen Koo(ed.) State and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Ithaca: Cornell Univ. Press.
· Lash, S. 1993, 김재필 역, {포스트모더니즘과 사회학}, 한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