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미생물유전체]미생물 유전체

미생물 유전체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1.21 최종저작일 2005.11
11P 미리보기
[미생물유전체]미생물 유전체
  • 미리보기

    소개

    미생물 유전체

    목차

    I. 미생물의 다양성 지구는 미생물의 행성
    II. 미생물 연구의 새 흐름 분자생물학에서 유전체학으로
    II. 미생물 유전체 연구 방법 자동화, 대형화, 속도화
    III. 국내외 미생물 유전체 연구 동향
    IV. 결어 미생물 유전체 연구를 국가 대형사업으로

    본문내용

    국가의 주인을 국민이라고 한다면, 지구의 주인은 미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1]. 미생물은 지구 생물총량의 60%나 차지한다. 또한 미생물은 그들 사이에 또는 식물, 동물 등 다른 생물군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지구의 생태계를 떠받치고 있다. 한 예로 우리 몸에는 세포 수 만큼이나 많은 수의 미생물이 서식하며 우리 몸의 정상적인 기능을 돕고 있다.

    38억년이라는 지구의 나이 대부분에 해당하는 오랜 기간 동안 번성하면서, 미생물은 어떤 환경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진화해왔다 [그림 1]. 따라서 미생물은 극한 환경을 포함한 지구상의 어떤 서식지에서도 적응하여 그 종류 뿐만 아니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 또한 다양하여, 어떤 화학반응도 가능한 효율 높은 작은 화학공장인 것이다.


    그림 1. 생명나무의 예로 본 미생물의 다양성. 미생물에는 세균 (bacteria)과 고세균 (archaea)뿐만 아니라 진균와 일부 하등 동식물과 같은 진핵생물 (eukarya)도 포함된다. 위 그림은 small subunit ribosomal 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만든 계통수임.


    II. 미생물 연구의 새 흐름 분자생물학에서 유전체학으로

    새 천년에 들어 인류는 산업혁명 (industrial revolution)에 이어 컴퓨터-인터넷과 생물학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혁명 (information revolution)과 게놈혁명 (genome revolution) 또는 진화혁명 (evolutionary revolution)에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생명과학 연구는 이전에 몇 개의 유전자를 대상으로 해서 소수의 생물학 연구자가 자기 실험실에 박혀 연구하던 분자생물학의 시대를 벗어나 분야가 다른 여러 연구자가 연합하여 많은 수의 유전자를 한꺼번에 연구함으로써 개체 단위의 연구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생물학 (systems biology) 체제로 바뀌고 있다 [그림 2]. 미국의 경우 십 수년 전부터 국책과제로 천문학적인 자금을 투자하여 새 천년의 보고라고 하는 게놈 (genome)과 프로테옴 (proteome) 연구 중심의 생물학의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미생물 게놈은 그 크기가 0.5-10백만 염기쌍 정도로 고등생물에 비해 1/100-1/1000 밖에 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다루기 쉽고, 연구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자료

    · 1. MicrobeWorld (http://www.microbeworld.org/)
    · 2. S-Star.org (http://s-star.org/main.htm)
    · 3. Frangeul L, Nelson KE, Buchrieser C, Danchin A, Glaser P, Kunst F. 1999. Cloning and assembly strategies in microbial genome projects. Microbiology 145:2625-2634
    · 4. Kim UJ, Shizuya H, de Jong PJ, Birren B, Simon MI. 1992. Stable propagation of cosmid sized human DNA inserts in an F factor based vector. Nucleic Acids Res 20:1083-1085
    · 5. Shizuya H, Birren B, Kim UJ, Mancino V, Slepak T, Tachiiri Y, Simon M. 1992. Cloning and stable maintenance of 300-kilobase-pair fragments of human DNA in Escherichia coli using an F-factor-based vector. Proc Natl Acad Sci USA 89:8794-8797
    · 6. Pevzner PA, Tang H, Waterman MS. 2001. An Eulerian path approach to DNA fragment assembly. Proc Natl Acad Sci USA 98:9748-9753
    · 7. Delcher AL, Harmon D, Kasif S, White O, Salzberg SL. 1999. Improved microbial gene identification with GLIMMER. Nucleic Acids Res 27:4636-4641
    · 8. Hensel M, Shea JE, Gleeson C, Jones MD, Dalton E, Holden DW. 1995.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bacterial virulence genes by negative selection. Science 269:400-403
    · 9. Lockhart DJ, Winzeler EA. 2000. Genomics, gene expression and DNA arrays. Nature 405:827-836; Lucchini S, Thompson A, Hinton JC. 2001. Microarrays for microbiologists. Microbiology 147:1403-1414
    · 10. Rainey PB, Preston GM. 2000. In vivo expression technology strategies: valuable tools for biotechnology. Curr Opin Biotechnol 11:440-444
    · 11. Washburn MP, Yates JR 3rd. 2000. Analysis of the microbial proteome. Curr Opin Microbiol 3:292-297
    · 12. Burley SK, Almo SC, Bonanno JB, Capel M, Chance MR, Gaasterland T, Lin D, Sali A, Studier FW, Swaminathan S. 1999. Structural genomics: beyond the human genome project. Nat Genet 23:151-157
    · 13. Uetz P, Giot L, Cagney G, Mansfield TA, Judson RS, Knight JR, Lockshon D, Narayan V, Srinivasan M, Pochart P, et al. 2000.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Nature 403:623-627; Ito T, Chiba T, Ozawa R, Yoshida M, Hattori M, Sakaki Y. 2001. A comprehensive two-hybrid analysis to explore the yeast protein interactome. Proc Natl Acad Sci USA 98:4569-4574
    · 14. The Institute for Genomic Research (http://www.tigr.org/)
    · 15. Fleischmann RD, Adams MD, White O, Clayton RA, Kirkness EF, Kerlavage AR, Bult CJ, Tomb JF, Dougherty BA, Merrick JM, et al. 1995. Whole-genome random sequencing and assembly of Haemophilus influenzae Rd. Science 269:496-512.
    · 16. GOLD™ database, Integrated Genomics, Inc. (http://wit.integratedgenomics.com/GOLD/); Entrez Microbial Genomes database (http://www.ncbi.nlm.nih.gov/PMGifs/Genomes/micr.html);
    · TIGR microbial database (http://www.tigr.org/tdb/mdb/mdbcomplete.html)
    · 17. Nelson KE, Paulsen IT, Heidelberg JF, Fraser CM. 2000. Status of genome projects for nonpathogenic bacteria and archaea. Nat Biotechnol 18:1049-1054
    · 18. Microbial Genome Program, US Department of Energy (http://www.ornl.gov/microbialgenomes/)
    · 19. DOE JGI Microbial Genomics (http://www.jgi.doe.gov/JGI_microbial/html/index.html); Fox JL. 2000. DOE Joint Genome Institute feat: one-day sequencing of E. faecium. ASM News 66:388
    · 20. DOE JGI Microbial Genomics (http://www.jgi.doe.gov/JGI_microbial/html/index.html); Fox JL. 2001. Microbial genomics reuniting with microbiology. ASM News 67:247-252
    · 21. Ross-Macdonald P, Coelho PS, Roemer T, Agarwal S, Kumar A, Jansen R, Cheung KH, Sheehan A, Symoniatis D, Umansky L, et al. 1999. Large-scale analysis of the yeast genome by transposon tagging and gene disruption. Nature 402:413-418
    · 22. Riley M, Serres MH. 2000. Interim report on genomics of Escherichia coli. Annu Rev Microbiol 54:341-411; Mori H, Isono K, Horiuchi T, Miki T. 2000. Functional genomics of Escherichia coli in Japan. Res Microbiol 151:121-128
    · 23. Ogasawara N. 2000. Systematic function analysis of Bacillus subtilis genes. Res Microbiol 151:129-134
    · 24. DOE Microbial Cell Project (http://microbialcellpr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