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 미생물유전학 2020년 1학기 과제
- 최초 등록일
- 2020.07.14
- 최종 저작일
- 2020.06
- 3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경북대학교 미생물유전학 과제입니다. 1장부터 15장 과제를 모두 모아두었으며, 해당하는 그림까지 가져다 붙였습니다. 과제대체에서 A+나왔습니다.
목차
1. 미생물유전학 과제 정리
본문내용
1-1. 유전학 실험 재료로서 세균의 특성?
1. 반수체로 열성형질이 없다.
2. 짧은 세대시간을 가진다.
3. 무성적인 증식 : 클론
4. 한천평판배지 상에서 콜로니 형성
5. 콜로니 정제 → 집단 선택 가능
6. 연속 희석법으로 개체 수 조절 및 추정 가능 : 10⁻², 10⁻², 10⁻² = 1ml/1000L
7. 조건에 따라 선별 가능 : N₂, 온도, 성분
8. 균주보존이 용이하다. : 포자, 건조, 동결, 글리세롤
9. 유전자 재조합 : 형질전환, 접합, 형질도입
1-2. 그림 1.6 참고하여 대장균 외막의 lipopolysaccharide의 구조를 정리해보세요.
E.coli와 같은 그람음성 세균에는 약 10%의 세포벽이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신에 세포벽의 대부분은 외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층은 두 번째의 지질이중층이지만, 세포막처럼 인지질과 단백질만으로 구성된 것은 아니다. 그람음성 세포의 외막은 또한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지질과 다당류는 외막에서 서로 결합되어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그람음성 세균의 외막은 때로 지질다당류층 또는 간단히 LPS라고 한다. 지질다당류는 크게 지질 A, 중심 다당류, O-다당체로 구분된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다당체로 이루어진 O-다당체는 그람음성세균의 O-항원성을 결정하는 부위이며, 지질 A는 내독소로 작용하는 부위로 T 세포와 무관하게 B 세포를 자극하여 독성 반응을 일으킨다.
중심다당류는 ketodeoxyoctonate(KDO), 갈락토스, 7탄당, 포도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O-항원은 중심 다당류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디데옥시당과 함께 6탄당을 함유하고 있다. 이들 당은 4~5개 당 배열형태로 연결을 이루는데, 흔히 분기되어있다. 당 배열이 반복될 때 긴 O-다당류가 형성된다. LPS의 지질 부분은 지질 A로, 전형적인 글리세롤 지방이 아니라 지방산이 글루코사민인산 이당류 아민기에 결합되어 있다. 글루코사민인산 이당류는 KDO에 의해 중심 다당류에 연결되어 있다.
참고 자료
미생물유전학 | Trun, Nancy Jo 외 2명 저 | 주우홍 외 2명 역 | 월드사이언스 | 2006.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