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의학 원전 의종금감 금궤요략]114-122 정정중경전서 금궤요략주 의종금감 원문 및 해석 한의학 원전

청나라 건륭제의 명에 의해 1749년 간행된 중국의 전통의학전서. 임상치료에 유용하도록 역대 여러 대가의 학설을 정리한 것인데 노래의 형태를 취한 부분도 있고 그림을 첨가하기도 해서 이해를 돕거나 기억하기 쉽도록 되어 있으나 중국의학의 독특한 이론은 다루고 있지 않다. 발간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 임상의의 중요한 표준 교재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설명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의 명에 의해 1749년 간행된 중국의 전통의학전서. 임상치료에 유용하도록 역대 여러 대가의 학설을 정리한 것인데 노래의 형태를 취한 부분도 있고 그림을 첨가하기도 해서 이해를 돕거나 기억하기 쉽도록 되어 있으나 중국의학의 독특한 이론은 다루고 있지 않다. 발간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 임상의(臨床醫)의 중요한 표준 교재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90권.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1.13 최종저작일 2005.11
11P 미리보기
[한의학 원전 의종금감 금궤요략]114-122 정정중경전서 금궤요략주 의종금감 원문 및 해석 한의학 원전
  • 미리보기

    소개

    청나라 건륭제의 명에 의해 1749년 간행된 중국의 전통의학전서. 임상치료에 유용하도록 역대 여러 대가의 학설을 정리한 것인데 노래의 형태를 취한 부분도 있고 그림을 첨가하기도 해서 이해를 돕거나 기억하기 쉽도록 되어 있으나 중국의학의 독특한 이론은 다루고 있지 않다. 발간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 임상의의 중요한 표준 교재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설명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의 명에 의해 1749년 간행된 중국의 전통의학전서. 임상치료에 유용하도록 역대 여러 대가의 학설을 정리한 것인데 노래의 형태를 취한 부분도 있고 그림을 첨가하기도 해서 이해를 돕거나 기억하기 쉽도록 되어 있으나 중국의학의 독특한 이론은 다루고 있지 않다. 발간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 임상의(臨床醫)의 중요한 표준 교재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90권.

    목차

    114조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본문내용

    程林曰:弦, 肝脈陰也。
    정림왈 현 간맥음야.
    정림이 말하길 현맥은 간맥 음이다.
    肝脈循脇裏, 寒主收引,
    간맥순협리 한주수인.
    간맥이 옆구리 안을 따르니 한사는 수렴하고 땅김을 주로 한다.
    故脇下拘急而痛。
    고협하구급이통.
    그래서 옆구리 아래가 당기고 급하면서 아프다.
    以寒勝于[於]內, 而陽氣不行于[於]外, 故外亦嗇嗇而惡寒也。
    이한승어내 이양기불행어외 고외역색색이오한야.
    한기가 안에서 이기면 양기는 밖에서 운행치 않으므로 밖 또한 오싹오싹 오한하게 된다.

    122
    夫中寒家, 喜欠, 其人淸涕出, 發熱色和者, 善嚔。
    부중한가 희흠 기인청체출 발열색화자 선체.
    한기에 적중한 사람은 하품을 잘하고, 그 사람에 맑은 콧물이 나오며 발열하면서 안색이 조화로우니, 잘 재채기 한다.
    【注】
    주석
    中寒家, 謂素有中寒病之人也。
    중한가 위소유중한병지인야.
    중한가란 평소에 한기에 적중된 병이 있는 사람이다.
    前以時減辨腹滿之中寒, 又以惡寒辨脇痛之中寒, 此以喜欠淸涕出而辨心胸之中寒也。
    전이시감변복만지중한 우이오한변협통지중한 차이희흠청체출이변심흉지중한야.
    전에는 때로 감소하는지 여부로 복부창만의 한사 적중을 변별했고, 또한 오한으로 옆구리 통증에 한기에 적중되었는지를 변별했고, 이는 하품을 잘하고 맑은 콧물이 남으로 심흉부의 한사적중을 변별하였다.
    欠者, 呵欠也。
    呵(꾸짖을, 불다, 숨을 내쉬다 가; 口-총8획; hē,ā,á,ǎ,à,ō,kē)
    흠자 가흠야.
    흠이란 한숨이다.
    夫人欲睡喜欠者, 陰引陽入也;
    부인욕수희흠자 음인양입야.
    사람이 자려고 할 때 하품을 잘함은 음이 양을 당겨 들어옴이다.
    睡覺喜欠者, 陽引陰出也。
    수각희흠자 양인음출야.
    잠에서 깨어날 때 하품을 잘함은 양이 음을 당겨 나옴이다.
    今中寒喜欠者, 是陰盛引陽也。
    금중한희흠자 시음성인양야.
    지금 한사에 적중되어 하품을 잘함은 음이 왕성하여 양을 당김이다.
    年老之人淸涕出者, 是陽虛也;
    년로지인청체출자 시양허야.
    연로한 사람이 맑은 콧물이 나옴은 양허증이다.
    遇寒之人淸涕出者, 是寒盛也。
    우한지인청체출자 시한성야.
    한증을 만난 사람이 맑은 콧물이 나옴은 한사가 왕성함이다.
    今中寒而淸涕出者, 是陽氣虛寒也。
    금중한이청체출자 시양기허한야.
    지금 한기에 적중하여 맑은 콧물이 나옴은 이는 양기가 허한함이다.
    若發熱色和者, 非爲中寒也, 乃爲外寒所搏, 雖有淸涕出, 亦因善嚔而出也。
    약발열색화자 비위중한야 내위외한소박 수유청체출 역인선체이출야.
    만약 발열하나 안색이 조화로우면 한사에 적중함이 아니고, 외부 한기가 침이니 비록 맑은 콧물이 나와도 또한 잘 재채하여 나온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