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행본
· 사무엘 P. 헌팅턴, 로랜스 L. 해리슨 공저 『문화가 중요하다』, 이종인 역, 김영사, 2001.
· , 『문명의 충돌』, 이희재 역, 김영사, 1997.
·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이토오 야스오, 『예술경영과 문화정책』, 이홍재 역, 역사넷. 2002.
· 플라톤, 『국가』, 박종현 역주. 서광사, 2001.
· 제롬 스톨니쯔, 『미학과 비평철학』, 오병남 역, 이론과 실천, 1991.
· 고든 그레이엄, 『예술철학』, 이용대 역, 이론과 실천, 1997.
·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 이길우 외 역, 문학동네, 2000.
· 김준연, 배용준, 『예술과 철학』, 문경출판사, 2003.
· 고토 키즈코, 『문화정책학』, 임상오 역, 시유시, 2005.
· 김문환, 『문화경제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 이흥재 편역, 『문화예술과 도시경제』, 다움문화예술경영총서1, 문자향, 2002.
· 임상오 등,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을유문화사, 2000.
· 강기수, 『교육사상사』, 세종출판사, 1998.
· 김주호, 용호성, 『예술경영』, 김영사, 2004.
· 프레데릭 들루슈, 『새유럽의 역사』, 윤승준 역, 까치, 1996.
· 서정복, 『살롱문화』, 살림지식총서, 2003.
· 구광모, 『문화정책과 예술진흥』, 중앙대학교 출판부, 1999.
· , 『문화를 읽는다. 미래를 본다』, 나무와 숲, 2001.
· 송건호, 『일제하의 문화와 통치』, 민중사, 1982.
· 예술행정연구회, 『예술과 행정』, 평민사, 1987.
· 임학순, 『창의적 문화사회와 문화정책』, 진한도서, 2003.
· 최협, 「정부의 문화개발정책」, 『문화와 국가경쟁력』, 박영사, 1996.
· 최재승, 『문화를 읽는다, 미래를 본다』, 나무와 숲, 2001.
· 김구, 『백범일지』, 미디어문화사, 1992.
· ○ 학위논문
· 김문규, 「지역문화행정의 전개를 위한 정책대안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 윤효석, 「한국 문화행정체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눈문, 1999.
· 최윤주, 「G8국가와 우리나라 문화행정정책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백유진, 「도시의 문화환경을 위한 정책모델 제안」,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윤용중, 「문화예술 부문에 대한 민간 및 정부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신현택, 「지역간 문화격차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박이준, 「한국 문화행정에 관한 연구: 지역문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하효숙, 「1970년대 문화정책을 통해 본 근대성의 의미」, 2000.
· 이기혁, 「도시문화정책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현정,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문화행정 개선방안 연구」,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2005.
· 이해란, 「한국 문화예술정책 발전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변청자, 「한국 문화정책과 문화정체성의 문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정기간행물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문예진흥기금의 지원효과 분석」, 2002.
·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주요 국가 문화예술지원 프로그램 연구」, 2003.
· 정홍익, 「문화행정연구: 개념틀과 분석」, 『한국행정학회보』, 한국 행정학회 제25권 4호, 1992.
· 오양렬, 「한국의 문화행정체계 50년」, 『문화정책론(제7집)』, 한국문화행정개발원, 1995.
· 박혜자, 「지방문화정책의 의의와 그 평가: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시정연구』15권, 광주광역시, 1996.
· 문화공보부. 「제6차 경제사회발전을 위한 5개년 계획-문화예술진흥계획 구상」, 1986.
· 문화관광부, 『2004 문화정책백서』, 한국문화관광정책개발원, 2005.
· , 『2001 문화정책백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1.
· 김철준, 「한국문화정체성의 인식」, 『문예진흥』 제5권, 제4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