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측량학]삼각측량
- 최초 등록일
- 2005.10.18
- 최종 저작일
- 2005.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pbi****
37회 판매

소개글
삼각측량의 개요,이론,계산적용,결과,고찰,참고문헌 수록
목차
1.삼각측량의 개요
2.삼각측량의 이론 및 계산적용
3.실습결과
4.고찰
5.참고문헌
본문내용
삼각측량(Triangulation)은 원래 테이프에 의한 장거리 거리 측정의 어려움을 피하기 위하여 채택된 방법으로서 삼각형의 계산에 의하여 방향과 거리기 결정된다. 이때 각은 가능한 한 모든 각이 측정되고 반면에 변의 길이는 최소의 숫자로 측정된다. 삼각측량은 변의 측정에서 보다 각의 측정에서 더 정밀성을 요구하는 대신에 삼변측량에서는 각의 측정보다 변의 측정에서 더 정밀성을 요구한다. 특히, 근년에 와서는 전자파 거리측정기의 발달로 인하여 20km~30km와 같은 먼 거리의 측정도 매우 짧은 시간에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으며 GPS와 같은 위성 측량의 발달로 인하여 삼각 측량의 이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나 삼각 측량의 이용은 아직도 옛 날과 큰 변함이 없다.
삼각측량은 먼저 측량 지역을 적절한 크기의 삼각형으로 된 망의 형태로 만들고 삼각형의 꼭지점에서 내각과 한 변의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나머지 변의 길이는 삼각함수(sine법칙)에 의하여 계산하고 각 점의 위치를 정하게 된다. 이때 삼각형의 꼭지점을 삼각점(triangulation station), 삼각형들로 만들어진 망의 형태를 삼각망(triangulation net), 직접 측정한 변을 기선(base line)이라 한다. 또한 많은 수의 삼각형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삼각망에서 각 삼각형의 길이를 계산해 나가다가 그 계산 값이 실제의 길이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기 위하여 보통 15~20개의 삼각형마다 그중 한 변을 실측하는데 이때 실측한 삼각형의 변을 검기선(check base)이라 한다. 1910년대에 완성된 우리나라의 삼각망은 23개의 기준 삼각망과 약 200km마다 실측한 13개의 검기선이 있다.
삼각망은 최소한 한 점 이상의 기지점에 고정되어야 하고 출발 변의 방위각을 알아야 한다. 만일 두 점 이상이 기지점으로 고정된다면 자동적으로 그 변의 방위각이 계산된다. 오늘날에는 국가 기본 삼각점 등 많은 기지점들을 사용할 수 있어서 출발 측선의 방위각은 물론 기선의 길이까지 알 수 있어 기선의 현장 실측이 필요 없이 계산에 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참고 자료
- 曺圭田 著,<測量學>,普成文化社 ,p.380~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