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학] 강구조학
- 최초 등록일
- 2005.07.16
- 최종 저작일
- 2005.04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강구조학
목차
개요
Ⅰ. 철강의 제조
Ⅱ. 강재의 종류 및 용도
Ⅲ. 강재의 성질
Ⅳ. 강구조기술의 전망
본문내용
개요
강구조공학은 강구조물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이나 외력에 대하여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우면서도 안전하고 경제적인 제작 · 가설이 매우 중요한 모든 종류의 강구조물 또는 강구조 시스템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관한 고도의 공학적 기술을 다루는 구조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대표적인 강구조 물들로는 각종 교량, 건축물, 철탑, 송배전탑, 관로, 댐이나 수문, 고압용기 등을 둘 수 있으며 해안 및 해양구조물, 광고탑 등도 중요한 강구조물이다. 또한 그 외에도 선박, 항공기, 로켓, 우주선, 전차, 대포, 총기류, 자동차, 기계류 등도 넓은 의미의 강구조물이라 일컬을 수 있으며 건설 기초공사에 쓰이는 시트파일, 소규모로 사용되는 상봉이나 방포책 등도 철강 재료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 철강은 20세기 현대문명을 떠받치는 기초 산업재로서 광범위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이런 까닭에 철강 산업이 발전한 나라는 미래지향적인 발전 가능성도 함께 보장받고 있다. 현재 지구상의 인구가 필요로 하는 철강의 양은 약 7억톤으로 추정되며, 적어도 철강이 가지고 있는 경제성을 뛰어넘는 소재가 개발되기까지는 21세기는 물론, 그 이후에도 오늘날의 철강 문명은 계속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현재, 첨단 복합신소재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일부는 이미 철강재를 대치하고 있으나 거대규모의 건축, 토목, 해양, 해저구조물은 일부 첨단신소재와 함께 첨단의 복합구조형태로 건조될 전망이다. 특히 주 내력 골조 구조물은 계속해서 고강도 강재가 사용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누구나 쉽게 전망할 수 있다.
21세기를 앞두고 잇달아 발표되는 선진국의 미래 도시에 대한 구상과 설계에서도 철강은 빠짐없이 등장한다. 바다 위에 떠있는 해상 공항, 해상 헬리포트, 해저 탐사시설에서부터 심지어는 해상 경기장에 이르기까지 미래 도시에 대한 인류의 구상은 철강을 바탕으로 펼쳐지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