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회과학] 우울정도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말 제대로 논문 형식 갖춰서, 고생해서 쓴 글입니다. SPSS 회귀분석으로 연구 결과 냈구요.. A+ 받았습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6.01 최종저작일 2003.12
14P 미리보기
[사회과학] 우울정도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소개

    정말 제대로 논문 형식 갖춰서, 고생해서 쓴 글입니다.
    SPSS 회귀분석으로 연구 결과 냈구요..
    A+ 받았습니다~

    목차

    I.서론
    1.문제제기
    2.연구의 의의와 한계

    II.이론적배경
    1.우울증
    2.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3.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연구
    4.가설의 설정

    III.연구설계
    1.변인설정
    2.표집선정
    3.자료수집
    4.자료분석방법

    IV.연구결과분석
    1.기술적 통계
    2.연구 결과 분석

    V.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설문지

    본문내용

    현대인이 가장 경계해야 할 질환 중 하나는 우울증이다. 분자화 되고 기계화된 산업사회는 사람의 사람다운 따뜻함이 사라진 사회라는 말을 교과서처럼 듣게 되고, 일상을 보내면서 피부로 느끼게 된다. 그러한 사회에서 현대인들이 우울에 시달리게 되는 것은 불가피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우울증이 2020년에 인류를 괴롭힐 세계 2위의 질병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우리나라 역시 전 국민의 8%인 약 320만 명이 매년 우울증에 시달린다는 통계가 있을 만큼 우울증은 ‘현대인의 역병’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우울함이 사람들의 능력이나 행동에 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을까? 우울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이것으로 인해 생활에의 또 다른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다면 우리는 그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시달리는 우울증이 능력의 저하와 같은 생활의 어려움을 수반한다면 그러한 어려움 또한 큰 파급으로 등장할 것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또한, 우울의 치료에 있어서도, 우울함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어떤 우울증 환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은 치료에 있어 더욱 정확한 치료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그가 가지고 있는 어려움에 더 관심을 쏟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울함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중에서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의 인과관계 여부를 알아보려고 한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그 전과 같이 잘 유지하지 못하는 것에서 우리는 궁금증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은 단순한 문제풀이가 아니라 일생생활에서 마주치게 되는 일들의 효율적인 처리 방법을 의미한다. 우울증에 있어서 문제해결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학습된 무력감 패러다임 내에서 이루어져 왔으며(Abramson, Seligman, & Teasdale, 1978), 주로 비인칭적인 대물관게 과제의 문제해결에 집중되어 왔다.

    참고자료

    · 김교헌(2004).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ꡔ한국학회지 사회문제ꡕ, 10권 특집호, pp.55~68.
    · 김정선, 신경림(2004), "성인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ꡔ대한간호학회지ꡕ, 34권 2호, pp.352~361.
    · 김형석, 신인숙(2003). "여가, 레크리에이션 : 여성의 신체적 여가활동 참가가 사회적 문제해결력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ꡔ한국체육학회지ꡕ, 42권 6호, pp.447~455.
    · 이미정, 안창일(1997). "우울한 사람들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 태도" ꡔKorean Journal of Clinic Psychologyꡕ, 16권 2호, pp. 85~100.
    · 전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ꡔ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ꡕ, pp.33~50.
    · 현용호, 남윤영, 김세현, 서신영, 육기환, 이만홍(2001). “한국인 우울증 환자의 대인관계 문제 영역에 대한 연구” ꡔ정신병리학ꡕ, 10권 1호, pp.63~70.
    · Abramson, L . Y., Seligman, M. E. P., & Teadale, J. D.(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 pp. 49-74.(이미정, 안창일, 1997에서 재인용)
    · Angold, A., Costello, E.,J., & Erkanili, A.(1999). Cormobidity. Journal of Child Ph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40,pp.57-87(김교헌, 2004에서 재인용)
    · D'Zurilla, T. J. & Goldfried, M. R(1971), Provlem sov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Journal of Abnomal Phychology, 78, pp.107-126(김형석, 신인숙, 2003에서 재인용)
    · Feibel, J. H & Springer, C. J.(1982). Depression and failure to resume social activies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3, pp.276-278(김정선, 신경림, 2004에서 재인용)
    · Hankin, B. L., Abramson, L. Y., Moffitt, T. E., McGee, R., Silva, P. A., & Angell, K. E.(1998). Development of depression from preadolescent to young adulthood: Emerging gender differences in a 10 you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mal Psychology, 107, pp.128-140(김교헌, 2004에서 재인용)
    · Heppner, P. P., Baumgardner, A., & Jackson, J.(1985). Problem-solving self-appraisal, depression, and arreibutional style: Are they related?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9, pp.105-113(이미정, 안창일, 1997에서 재인용)
    · Hepper, P. P. and Petersen. C. H.(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 pp.66-75(서울대학교 실천사회복지연구회, 2003에서 재인용)
    · Hyland, M. D.(1987). Control theory interpretation of psychological mechanisms od depression:comparison and integration of several theories. Psychological <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