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일본어의 특질] 일본어의 특질

일본어 어학에 관련되는 전바적인 내용을 개괄적으로 쓴 보고서입니다. 원어로 쓴 것이어서 고급 과정에서이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5.25 최종저작일 2005.03
10P 미리보기
[일본어의 특질] 일본어의 특질
  • 미리보기

    소개

    일본어 어학에 관련되는 전바적인 내용을 개괄적으로 쓴 보고서입니다.
    원어로 쓴 것이어서 고급 과정에서이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Ⅰ. 世界の言語と日本語………1
    1. 日本語と日本人………………………1
    1.1日本語=日本人の言語=日本…………1
    1.2公用語…………………………………1
    1.3アメリカの公用語……………………1
    1.4日本の公用語…………………………2
    1.5言語から見た日本人の外人観………2
    1.6外地の日本語…………………………2
    1.7望まれる日本語の教育………………2
    2. 日本語の複合性………………………2
    2.1言葉の違い……………………………2
    2.2日本語の方言…………………………3
    2.3方言の違いの激しさ…………………3
    2.4 身分による言葉の違い………………3
    2.5職業による言葉の違い………………4
    2.6男女による言葉の違い…………………5
    2.7文体の違い…………………………5
    2.8日本語の豊かな表現………………5
    3. 日本語の孤立性……………………6
    3.1世界の言語分布…………………6
    3.2同系統の証拠……………………7
    3.3同系統の言葉を探る……………7
    3.4他の言語から受けた影響………8
    3.5中国からの影響…………………8
    3.6他の言語への影響………………8
    Ⅱ. 終りに……………………………8
    参考文献

    본문내용

    2.4 身分による言葉の違い

    日本語は身分による言葉の違いもみられる。もちろん今は身分による言葉の違いはなくなっているが歌舞伎などを見ると,江戸時代以前は,士農工商という身分の違いによって使う言葉が違っていたことが分かる。

    たとえば「いつ江戸へ来たか」といったことを言うのに十ぐらい変化がある。

    「いつ江戸へおいでなされました」―武家も使えるが町家が主らしい。
    「いつ江戸へおこしでございました」―武家の女性または町家の女房。
    「いつ江戸へござった」―父親が息子に言う場合。
    「いつ江戸へござらしゃった」―母親が息子に言う場合。
    「いつ江戸へ参られた」―武士。
    「いつ江戸へ来やしゃんした」―遊女。
    「いつ江戸へござんした」―遊女の中でも位のある太夫。(重々しくなる)
    「いつ江戸へ来なさんした」―芸者で粋な口調。
    「いつ江戸へござりました」―僧侶,医者。
    「いつ江戸へおいでなせえました」―職人とか鳶 ①鳥の一種②とび職の略語ーとび職は土木·建築工事で足場の組み立てやくい打ちなどをする職人で江戸時代では消防士も兼ねた。

    「いつ江戸へござらっしゃりました」―飯焚。

    杉本つとむさんは『ことばの文化史』で次のように述べている。

    〈見かけの生活はともかく,工員さんが多いせいか奥さんというより,おかみさん顔だった。ホワイトカラー団地のご婦人たち,奥さまとはたしかに違う〉というような記事なのです。これは一九六七年ごろの週刊誌なのですが,ここでおかみさん,奥さん,または,御婦人というよりに分けた言い方をしている点に,ちょっと注意してください。(中略)〈奥さま〉というのは,時代をずっとさかのぼっていきますと,武士の奥さんでないと使えないものでした。絶対に町人たちは,奥さんという言い方ができなかったのです。これは,いうまでもなく,人為的そう規定されたからで,当然身分の違いであり,支配階級と被支配階級という,社会上の地位にかかわってくる問題です。 杉本つとむ,『ことばの文化史』,桜楓社,(1982),p.173。


    以上に述べたように身分による言葉の違いは最近までいやいまも使われているとも言える。目に見える身分の違いはないが暗黙に存在していると言えるだろう。

    참고자료

    · 参考文献
    · 金田一春彦, 『日本語の特質』, 日本放送出版協会, (1991).
    · 杉本つとむ, 『ことばの文化史』, 桜楓社, (1982).
    · 野元菊雄, 『日本人と日本語』, 筑摩書店, (1978).
    · 参考URL
    · http://blog.naver.com/lovinglaewon.do?Redirect=Log&logNo=40001362666
    · 用例出典
    · 谷崎潤一郎,『細雪(下)』, 新潮社, (1955).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