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제자훈련] 제자훈련을 통한 코이노니아의 회복

제자훈련에 관한 간단한 리포트입니다. 바로 제출하시고 이용하셔도 무방하실겁니다. 감사합니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5.07 최종저작일 2004.10
21P 미리보기
[제자훈련] 제자훈련을 통한 코이노니아의 회복
  • 미리보기

    소개

    제자훈련에 관한 간단한 리포트입니다. 바로 제출하시고 이용하셔도 무방하실겁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A. 예수님의 제자훈련 원리
    1. 선택과 동거
    2. 헌신과 나누어 줌
    3. 시범교육
    4. 사역위임
    5. 감독
    6. 재생산을 통한 증식
    B. 실질적인 제자훈련 방법
    1. 경건의 시간
    a. 경건의 시간을 갖는 방법
    b. 경건의 시간을 지속하는 방법
    2. 기도
    3. 성경연구
    a. 듣기
    b. 읽기
    c. 성경공부 - -
    d. 암송
    e. 묵상
    4. 전도
    5. 섬김
    C. 코이노니아의 회복을 시도하는 교회 사례
    1. Peninsula Bible Church(페니슐라 성경 교회)
    2. 미국 베다니 공동체
    Ⅴ. 결 론
    A. 요약
    B. 맺는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A. 예수님의 제자훈련 원리

    제자훈련을 통한 코이노니아(koinonia)의 회복은 성경에서 찾을
    수 있다. 로버트 콜만(Robert E. Coleman)은 4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님
    의 사역을 통해서 제자훈련의 원리를 선택, 동거, 헌신, 나누어 줌,
    시범, 위임, 감독, 재생산의 여덟 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 R.E.Coleman,
    <주님의 전도계획>, 홍성철 역 (서울:생명의 말씀사, 1984). 이러한 제
    자훈련 원리를 다음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1. 선택과 동거


    예수님의 계획의 우선적인 목표는 그의 생애를 증거하고 그의 사
    업을 계속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선택하는 일이었다(요1:35-40, 막
    1:19, 마4:21, 눅5:27-28). ) Ibid., p.21. 당시의 제자들은 평범한 사회인의 모든
    계층을 총망라한 사람들로서 이들에게 효과적인 훈련을 통해서 결과적
    으로 대중이 구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신 그의 전략이었다.) Ibid., pp.25-30.

    예수님은 제자들을 부르신 후 계속적으로 그들과 함께 지냈다.
    제자들은 수업이라는 특정한 시간에 의해서가 아니라 예수께서 행하는
    제반의 사실로부터 배울 수가 있었다. ) Herman Horne, <예수님의 교육방법>,
    박영호 역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p.179.
    그러므로 오늘날에도 교회는 대량양육을 위한 프로그램보다 소수의 사람들에게 많은
    시간과 관심을 집중하여 봉사의 일을 할 훈련된 제자를 양육해야 할 것이다.

    2. 헌신과 나누어 줌

    예수님의 제자들은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르는 헌신된 자
    들이었다(막1:18,20). 또한 예수님께서는 그의 제자들이 영리하기 보
    다는 순종하기를 기대하셨다. 시간이 지남에따라 순종하는 자들은 지
    도자(Jesus Christ)의 인격을 닮게 되기 때문이다. 순종은 생명의 원
    리로서 십자가에서 자신은 죽고 그리스도와 동일하게 되었다는 원리를
    받아드리는 것이다. ) Carl Wilson, <목회와 제자양성>, 권명달 역 (서울:보이스사,
    1981), p.447.

    예수님의 생애는 하나님께서 그에게 주신 것을 나누어 주시는 생
    애(요15:15, 17:4, 8:14)였다. 예수께서는 제자들에게 평안(요16:33)
    과 천국열쇠(마16:9)와 심지어 자신의 생명까지 주셨다. ) R.E.Coleman, op. cit., pp.63-69.
    그러므로 소수이 사람을 선택하여 그들에게 헌신과 순종의 제자도를 가르치고
    주님의 것을 나누어야 한다.

    참고자료

    · 가. 영문서적
    · Alexander, J. A. A Commantary on the Acts of the Apostle.
    · London:The Banner of Truth Trust, 1963.
    · Brown, N. Laity Mobilization. Grand Rapids:Eerdmans, 1917.
    · Kittel, Gerald.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 Michigan: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5.
    · Snyder, Howard A. The Community of The King. IVP, 1977.
    · 나. 번역서적
    · Bonhoeffer, D. <신도의 공동생활>. 문익환 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 1964.
    · Bounds, E. M. <기도의 능력>. 이정윤 역. 서울:생명의말씀사, 1991.
    · Bright, J. <이스라엘의 역사>. 김윤주 역. 경북:분도출판사, 1979.
    · Brown, J. <히브리서 주석>. 김창엽, 함영옥 공역. 서울:아가페출판
    · 사, 1988.
    · Bruce, F. F. <사도행전 주석>. 이용복, 장동민 공역. 서울:아가페출
    · 판사, 1988.
    · Cell, Charles. <마음을 터놓고 진실한 교제를 나누려면>. 배태호 역.
    · 서울:나침반사, 1980.
    · Coleman, Robert E. <주님의 전도계획>. 홍성철 역. 서울:생명의 말씀
    · 사, 1984.
    · Cosgrove, Francis M. <제자의 삶>. 서울:네비게이토출판사, 1990.
    · Eims, Leroy. <제자삼는 사역의 기술>. 서울:네비게이토출판사, 1992.
    · Henrichsen, W. A. <훈련으로 되는 제자>. 서울:네비게이토출판사,
    · 1989.
    · Henry, Matthew. <단권매튜헨리신약주석>. 단권매튜헨리신약주석 번역
    · 위원회 역. 서울:풍만출판사, 1985.
    · Hodge, C. <고린도후서 주석>. 박상훈 역. 서울:아가페출판사, 1988.
    · Horne, Herman. <예수님의 교육방법>. 박영호 역. 서울:기독교문서선
    · 회, 1983.
    · Jay, E. G. <교회론의 역사>. 주재용 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 1986.
    · Kung, Hans. <교회란 무엇인가>. 이홍근 역. 경북:분도출판사, 1973.
    · MacArther, J.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 한화룡 역. 서울:두란노서원,
    · 1986.
    · Mcbirinie, W. S. <초대교회 연구>. 박수만 역. 서울:예수교문서선교
    · 회, 1980.
    · Miller, D. <교회의 본질과 사명>. 박상증 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 1980.
    · Robertson, Roy. <디모데원리>. 서울:네비게이토출판사, 1990.
    · Sanders, J. O. <성령과 그의 은사>. 권혁봉 역. 서울:요단출판사,
    · 1983.
    · Stedman, Ray C. <그리스도의 지체>. 홍성국 역. 서울:생명의말씀사,
    · 1991.
    · Stott, R. W. John. <현대교회와 평신도 훈련>. 김기영 역. 서울:엠마
    · 오 출판사, 1987.
    · Stott, J.외. <복음전도와 사회적책임>. 한화룡 역. 서울:두란노서원,
    · 1988.
    · Watson, David. <제자훈련>. 권성수 역.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 1991.
    · Weston, Sidney A. <예수의 발견>. 임종원 역. 서울:기독지혜사,
    · 1988.
    · Wilson, Carl. <목회와 제자양성>. 권명달 역. 서울:보이스사, 1981.
    · Wrightsman, Bruce. <교회의 의미와 사명>. 김득중 역. 서울:컨콜디아
    · 사, 1981.
    · 다. 한글서적
    · 고영복. <한국교회의 나아갈 길>. 서울:한명문화사, 1972.
    · 민영<<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