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준 편저, 「고려속요집성」, 도서출판다운샘, 2002.
· 김렬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1977.
· 金善祺, 「高等學校 高麗歌謠에 관한 考察」,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김정주, 「고려가요」, 조선대학교출판부, 2002.
· 김지연,「고등학교 고려속요의 교육방안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2000.
· 김진호, 「井邑詞攷」,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 南廣祐, 「高麗俗謠에 나타난 女性에 관한 硏究」,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 노지영, 「삼국속악가사의 고려조 수용연구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文燮洙, 「井邑詞硏究」,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阮, 1981.
· 박광정, 「(재미있게 풀어 쓴) 고전시가 문학」, 좋은날, 1999.
· 朴魯日, 「高麗俗謠에 나타난 情緖에 關한 考察」,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阮, 1987.
·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선명출판사, 1968, p.87.
·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국악자료원, 1994.
· 朴商翊, 「高麗俗謠에 나타난 主題 硏究」,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阮, 1993.
· 박성의, 「한국의 시가」,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000.
· 박혜숙, 「西京別曲 硏究의 爭點」, 『백경정병욱선생 회갑기념논총』, 1992.
· 서재극, 「西京別曲의 "네가시럼난디"」,『語文學』27호, 1972.
·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54.
· 오세철, 「문화와 사회심리 이론」, 박영사, 1980.
· 尹淳湖, 「井邑詞의 硏究」,圓光大學校 敎育大學院, 1985.
· 이명구, 「高麗歌謠의 硏究」,新雅社, 1984.
· 이성주, 「고려속요에 나타난 성의식」『論文集15』, 關東大學校, 1987
· 이성주, 「고려시대의 가요」, 민속원, 1998.
· 전규태,「西京別曲연구」,『高麗歌謠硏究』, 새문社, 1982.
· 眞檀學會, 「악학궤범」, 一潮閣, 2001.
· 愼勝行,「古代詩歌에 나타난 韓國的 情緖와 恨의 源流 硏究」『제주전문대학 論文集 15』,1994.
· 최미정,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출판부, 1999.
· 최용수,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993.
·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 편집부 편, 「한국고전시가 작품론1」, 集文堂, 1992.
· 전일환, 「옛 백제의 望夫歌 : 井邑詞」, 『자치광장 114』, 全北議政硏究所, 2001.
· JLFreedman, D.O.Sears, J.M Carlsmith:Social Psychology, 홍대식 옮김, 「사회심리학」, 박영사, 1984년 증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