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대규, 1997, 「왜 대통령제를 선호하는가」, 『법과 사회』, 15.1, 40-54.
· 성낙인, 1997, 「특집 권력분점론의 허와 실 : 권력의 민주화와 정부형태 - 한국형 이원정부제 (반대통령제) - 」, 『법과 사회』 15(0), 6-39.
· 호광석, 2005, 「정부형태론의 비교 – 유형과 특성을 중심으로 - 」, 『사회과학연구』 11.2, 173-193.
· 김상겸, 2006, 「권력분립과 정부형태에 관한 연구 - 법치국가원리와 관련하여」, 『헌법학연구』 12.4 , 451-483.
· 강승식, 2007, 「반대통령제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8(2), 185-209.
· 박상철, 2008, 「권력구조의 개헌쟁점과 민주주의 논쟁」, 『정치정보연구』 11(1), 213-230.
· 정만희, 2008, 「정부형태에 관한 헌법개정의 방향」, 『헌법학연구』 14.4, 269-312.
· 김종보, 2009, 「정부형태의 개정방안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50.2, 1-36.
· 이한태, 2010, 「개헌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법학연구』 21(2), 55-93.
· 강승식, 2011, 「정부형태 평가기준으로서의 권력분립」, 『법학논총』 23.2, 93-129.
· 정만희, 2011, 「이원정부제 정부형태의 검토」, 『동아법학』 52, 143-187.
· 오용만, 2011, 「정부형태의 개정방향에 관한 소고」, 『법학논총』 26, 71-96.
· 김오진, 2012, 「한국의 정부형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 이영우, 2013, 「영국의 의원내각제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학회』 62, 421-438.
· 전찬희, 2014, 「분권형 대통령제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연구』 25(3), 487-516.
· 고영훈, 2015, 「의원내각제국가의 의회해산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공법학연구』 16(4), 147-171.
· 장영수, 2017, 「정부형태의 선택 기준과 분권형 정부형태의 적실성」, 『고려법학』 0.86, 239-272.
· 장영철, 2020, 「국가조직론」, 『화산미디어』
· 곽재훈, 「문재인 "대통령제보다 내각제가 훨씬 좋은 제도"」, 『프레시안』, 2012-07-22, [자료검색: 2021-07-0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1984922)
· 김지연, 「트럼프 "멕시코 장벽 쌓겠다" 행정명령 예고…무슬림 입국제한도(종합)」, 『연합뉴스』, 2017-01-25, [자료검색: 2021-12-09], (https://www.yna.co.kr/view/AKR*************1009)
· 정찬, 「[KSOI] 개헌 ‘대통령제69% >이원집정부제15% >내각제8%’」, 『폴리뉴스』, 2017-12-10, [자료검색: 2021-07-08] (http://www.polinews.co.kr/mobile/article.html?no=339572)
· 권호, 「소득 3만 달러 넘는 국가엔 ‘제왕적 대통령제’ 없다」, 『중앙일보』, 2018-03-16, [자료검색: 2021-07-01] (https://news.joins.com/article/22446580)
· 유종성, 「제왕적 한국 대통령, 미국 대통령보다 더 강하다」, 『프레시안』, 2017-01-06, [자료검색: 2021-12-09],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47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