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케이스입니다.
집담회 당시 교수님이 수정할 게 없다고 칭찬하신 케이스입니다.
*간호력 및 건강력조사 부분 없이* 질병기술 & 투약 & 간호과정만 포함되어 있는 자료로, 간호과정의 간호사정 부분에 필요한 주관적/객관적자료가 다 있으니 간호과정을 보시는 데에 전혀 문제 없으실 것입니다!
질병기술은 치매, 뇌졸중, 관절의 강직증 3개 다 자세하게 적었으며
뻔한 간호중재로 채운 간호과정이 아닌, 최대한 많은 자료와 논문 등을 찾아보며 하나하나 꼼꼼히 검토하며 쓴 케이스로, 디테일에 자신있습니다!
치매, 기동성 저하, 소양증 케이스 찾으시는 분들께 특히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은 각 3개며,
1.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2. 복합적 요인(저작기능 감소, 음식 섭취 거부, 수면 과다)와 관련된 영양 불충분의 위험
3. 복합적 요인(근력 및 기동성 저하, 고령, 인지기능 저하, 다중약물복용, 혈색소 수치 저하)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입니다.
I.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치매(Dementia)
1) 병인론(Pathophysiology)
∙ 정의: 치매는 다양한 후천적 원인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주의력, 시공간 파악능력, 집행기능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지기능의 저하가 진행되며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키는 비가역적 질환이다. 치매는 하나의 질병명이 아닌, 여러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임상증후군으로 정의된다.
∙ 원인: 전반적인 뇌 기능의 손상을 유발하는 모든 질환이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3대 원인 질환은 알쯔하이머병(50-60%), 혈관성 치매(20-30%), 루이체 치매(15-25%)이다. 알쯔하이머병은 가장 흔한 치매의 원인으로, 대뇌실질 및 해마의 현저한 위축과 신경반(신경반(neuroritic plaque)의 출현, 뇌피질 신경원섬유의 엉킴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혈관성 치매는 뇌졸중 후에 발생하며 뇌 내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뇌혈관이 파열되어 뇌세포가 괴사되면서 발생하는 치매이다. 그 외에도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 의한 루이체 치매, 현팅톤병 등이 있다.
2) 임상증상(Clinical Manifestation)
∙ 인지기능 저하 증상
- 기억력 저하: 단기기억력의 저하가 먼저 나타나며, 장기기억은 비교적 오래 유지되다가 치매가 악화되면서 점차 장기기억력 또한 저하된다.
- 언어능력 저하: 이해하고 말하는 능력의 저하가 나타난다. 상대방의 말이나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없거나, 적당한 단어를 찾기가 어렵고 말수가 점차 감소한다.
- 시공간 파악능력의 장애: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파악에 장애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시각에 대한 장애가 먼저 발현되며, 점차 계절, 낮과 밤을 구분하지 못하게 된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5).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측정지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권경희, 서순림, & 서부덕. (2010).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수면양상과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2(2), 131-141.
· 김조자, 김영희, 김용순, 박은영, 박지원, 박진희, … & 홍영혜. (2015).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 공역.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 [근골격계 질환] 골(퇴행성)관절염. (n.d.).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33876&CONT_CLS_CD=001020001005&CONT_ID=6710
· 뇌졸중(Cerebrovascular Disease). (n.d.).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518
· 소양증(Pruritus). (n.d.).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77
· 치매(Dementia). (n.d.).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5
· 약학정보원. (n.d.).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강정희, 이정인, … & 신미경 외. (2018). 기본간호학 I(제3판). 현문사.
·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강정희, 이정인, … & 신미경 외. (2018). 기본간호학 II(제3판). 현문사.
· 오정은. (2015). 노인의 수면 장애. 임상노인의학회지, 16(2), 37-43.
· 윤은자, 김숙영,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 & 최자윤 외. (2019). 성인간호학 I(9판). 수문사.
· 윤은자, 김숙영,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 & 최자윤 외. (2019). 성인간호학 II(9판). 수문사.
· 의약품정보. (n.d.).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 이영신, 이예선, 홍귀령. (2015).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 대상 한국어판 코넬 치매 우울척도(K-CSDD) 검증. 노인간호학회지, 17(3), 142-151.
· 임경춘, 권영은, 김상희, 김성렬, 김정아, 김주성, … & 황선경 외. (2020). 건강사정(8판). 학지사메디컬.
· 골관절염. (n.d.).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1988#none
· 뇌졸중에 대해서. (n.d.).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ccvdInfo/ccvcdInfo/cbvcacdInfoMain.do
· 치매. (n.d.).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566
· 장효열, & 김태임. (2016).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수면 양상 및 영향요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3), 773-789.채경숙. (2008).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치매노인의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
· 한국 노인간호학회. (2024). 노인간호학 (제2판). 현문사.
· Andrade, A., Kuah, C. Y., Martin‐Lopez, J. E., Chua, S., Shpadaruk, V., Sanclemente, G., ... & Cochrane Skin Group. (1996). Interventions for chronic pruritus of unknown origi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0(1).
· Hercogová, J. (2005). Topical anti‐itch therapy. Dermatologic therapy, 18(4), 341-343.
· Jarvis C. (2019). Physical Examination & Health Assessment (8th Edition). Elsevier.
· Moncada, L. V. V., & Mire, L. G. (2017). Preventing falls in older persons. American family physician, 96(4), 240-247.
· NANDA International. (2024).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2024-2026.
· National Institute on Aging. (2018). Caring for a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National Institute on Aging(NIH)
· Rapp, K., Becker, C., & Cameron, I. D. (2018). Prevention of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Older Adults. Current Gerontology and Geriatric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