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
DIAMOND 등급의 판매자 자료

홍대 문화 및 지역상권분석 레포트

홍대의 문화 및 지역상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홍대 상권의 전망을 중심으로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1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5.02.08 최종저작일 2024.06
11P 미리보기
홍대 문화 및 지역상권분석 레포트
  • 미리보기

    소개

    홍대의 문화 및 지역상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홍대 상권의 전망을 중심으로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홍대 발전 과정
    2) 홍대 문화
    3) 홍대 상권
    4) 홍대 상권 쇠퇴 원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역조사를 위한 주제를 선정하던 중 우연히 본 기사에서 있던 한 문장이 우리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한 대학생은 “친구들과 주로 합정·연남에 가서 노는 편”이라면서 “지금 홍대에는 즐길 만한 게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홍대를 떠올리면 수 많은 주점과 흥겨운 밴드공연, 버스킹 등 젊음의 활력이라는 이미지가 가장 먼저 머릿속에 들어온다. 우리의 인식과는 다른 저 인터넷 기사 속 대학생의 의견이 사실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우리는 홍대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고 홍대가 젊음의 거리라는 수식어가 아직도 어울리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를 수행했다. 우선 홍대는 홍대거리는 홍익대학교, 홍대입구역, 상수역 일대에 위치한 서울의 대형 상권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홍대는 홍익대학교의 줄임말로 홍대입구역이 개통된 후 특색 있는 상권이 유지되는 서교동, 동교동, 상수동 상권 또는 국내 인디업계를 흔히 홍대 앞이라고 칭하다가 홍대거리라는 명칭으로 정착된 것이다. 이러한 홍대의 현재를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홍대의 발전과정, 홍대문화, 홍대상권, 홍대상권의 쇠퇴 이유를 조사했다.

    II.본론
    1.홍대 발전 과정
    지금 우리가 아는 홍대는 1930년대에 지어진 화력발전소에 석탄 운반을 했던 철길을 따라 형성된 지역이고 광복 이후 1950년대에 서교토지 구획 정리사업으로 주택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주거지가 형성된다. 그러던 1954년 우리가 아는 홍익대학교가 용산에서 이전하면서 일대가 대학가로 변한다. 1954년 홍익대학교가 현재 위치로 이전하면서 홍대가 지금과 같은 문화를 주도하는 지역으로 발전하기 시작한다. 홍대 미대의 출발과 함께 홍익대 미대생들의 작업실이 문화적인 거리를 형성하는 씨앗이 되었다.

    참고자료

    · 김혜림.홍성조, 2022, 「서울시 홍대 주변 상권의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24-30p
    · 강성구.천상현.이민진, 2022, 「주상권과 인접상권 중심지 간의 공간변화 다이내믹스:홍대 일대 상권 사례」, 25-41p
    · 김수아, 2015, 「홍대 공간의 문화적 의미 변화」, 83-123p
    · 서울공식관광정보, 「동네 전체가 미술관 벽화가 그려진 서울의 골목들」, 『서울공식관광정보』, 2019년 7월 19일
    · 임지현, 「[인턴액티브] 돌아오지 않는 관객…"홍대 공연장을 지켜주세요"」, 『연합뉴스』, 2022년 7월 10일, 「https://www.yna.co.kr/view/AKR20220707166700505」
    · 이정헌, 상권 양극화 홍대, 흥망성쇠 분기점 [핫플의 추락③], 『국민일보』, 2024년 4월23일,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9917915
    · 정유진, 홍대 주변 빅4, ‘메가 상권 확장’, 『한국경제』, 2024년 1월 29일,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401182631c
    · 고문진, [코로나19 이후 상권⑧] 홍대 상권의 명암, 여전히 불친절한 임대료 수준, 『시사프라임』, 2023년 5월 24일, https://www.sisa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654
    · 서울역사박물관, 「고급주거지에서 문화발전소로…홍대앞의 어제와 오늘」, 『서울역사박물관』2018년 7월 5일
    · https://museum.seoul.go.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015&seq=20180705133052388&sso=ok
    · 백나은, [코로나19 이후 상권⑦] 젊음의 거리 홍대, 활기 띤 메인 상권…관광객 의존도 높아, 『시사프라임』, 2023년 5월 17일
    · https://www.sisa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634
    · 이서현, 「"홍대 너마저..." 개성 잃고 도미노처럼 무너지는 대학 상권」, 『한국일보』, 2024년 3월 19일,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31809490004889
    · 서지영, 「홍대 '평당 300만원' 미친 임대료에…"이대로 가면 망한다" 경고」, 『조선일보』, 2023년 6월 11일
    · https://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6/10/2023061001418.html
    · 김유진, [K이슈진단②] 코로나19 3년째, '홍대 음악'이 사라진다, 『네이트뉴스』, 2022년 2월 22일, https://news.nate.com/view/20220222n11747
    · 김웅,「뜨는 동네의 빛과 그림자, 젠트리피케이션」, 『한국경제 부동산밸류업 센터』 https://landvalueup.hankyung.com/wmlounge-20240207-1200/
  • 자료후기

      Ai 리뷰
      홍대의 발전 과정과 현재 상황을 분석하여 홍대 문화와 상권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