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 Adenomyosis
1) 정의
자궁선근증(Uterine adenomyosis)은 자궁내막이 자궁근육 내로 침윤한 상태, 즉 자궁내막샘과 간질이 자궁근층 내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정상위치를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질환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자궁을 적출하여 병리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유병률을 알 수는 없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의 기왕력이 있는 경산부에서 흔하다.
2) 원인
자궁선근증의 원인은 자궁내막 기저층의 이상 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근층내로 직접 확대되어 증식하는 것이다. 위험요인으로 가족력, 다산력 등이 있으며,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이나 산후 자궁내막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자궁선근증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드물어 약 80%에서 다른 골반 내 질환이 발견된다. 자궁근종이 가장 많이 동반되고 이외에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암과 동반되어 나타난다.
3) 증상 및 징후
자궁선근증이 있는 환자에서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월경과다, 월경곤란증, 부정자궁출혈, 성교곤란증, 만성골반통, 자궁근 비후 등이 발생한다. 월경곤란증은 월경예정일 1주 전에 시작해서 월경이 끝난 후에도 해결되지 않을 수 있고 과다출혈과 지연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자궁은 상당히 커져 있으며, 특히 월경 시에 더욱 커진다.
4) 진단검사
자궁선근증을 진단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없으며 수술 전에 자궁선근증으로 추정된 환자들에게 자궁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약 38%
· 유양숙, 권보은, 김희경 외. (2022).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 현문사
· 김혜원, 구본진, 김선호 외. (2023). 여성건강간호학 I. 서울 : 현문사
· 김혜원, 구본진, 김선호 외. (2023). 여성건강간호학 II. 서울 : 현문사
·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 I, 현문사
·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 II, 현문사
·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015816/
· 삼성 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15&CONT_SRC=CMS&CONT_ID=3138&CONT_CLS_CD=001020001007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main/mainPage/main.do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 NECA 신의료기술평가사업본부 https://nhta.neca.re.kr/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 pacehospital https://www.pacehospital.com/hysterectomy-surgery
· Total Laparoscopic Hystrectomy https://www.youtube.com/watch?v=YlLy9V4M2f8
· Total Laparoscopic Hystrectomy https://www.youtube.com/watch?v=v7ZTrbHckIk
· 홍정아 외 1인, 자궁평활근종, 자궁샘근종, 자궁평활근종/자궁샘근종의 공존인 경우의 임상적 특징, 2016,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노주원, Adenomyosis: uterine reconstructive surgery for fertility presevation, Medical report,
· 김사진, 신종철, 김장흡, & 김도강. (1991). 자궁선근증 및 자궁근종에서 CA 125 값의 임상적 의의.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34(2), 253-257.
· 김영선, 김성미, & 호삼수. (1987).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30(4), 528-532.
· 최욱환, 이규섭, & 김원희. (1981).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4(8), 779-786.
· 윤용복, 박상욱, 유윤환, 김남수, 황익하, & 김두표. (1999). 임상연구: 자궁절제술후 확인된 자궁선근증의 임상적 고찰.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2(8), 1690-1694.
· 이나영, 이은지, 홍성숙, 황지영, 장윤우, 오은선, ... & 정제원. (2023). 패턴 인식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자궁병변의 영상의학적 평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84(1), 127.
· 홍민, 이영심, 고양순, 차동수, 최현일, 정인배, 김영주. (2001). 자궁 근종의 동맥색전 치료술 후 임상적 반응에 대한 평가.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4(1), 43-47.
· 박정선, 이도연, 김영태, 박기현 외. (1999), 자궁근종에서의 자궁동맥색전술의 효능과 임상결과,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81-485
· 백종우, 공두식, & 이건호. (2005). 복강경하 전자궁적출술 (TLH) 과 복식 전자궁적출술 (TAH) 의 비교연구.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8(6), 1490-1496.
· 김용욱. (2009). 배꼽만을 통한 단일공법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 한국최초 임상보고. 대한산부인과학회지, 52(4), 480-486.
· 민병강, 박준숙, 류지훈, 김억배, 심삼용, 송영래, ... & 오관영. (2006).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질식 전자궁적출술 및 복식 전자궁적출술의 임상적 비교.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9(8), 1754-1763.
· 강경화, 박준숙, 정지학, 노정훈, 황인택, 김기환, ... & 이병관. (2006).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과 질식 전자궁적출술의 임상적 비교.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9(1), 147-156.
· 박현정, 도종욱, 이용우, 김시내, 정지윤, 문종수, ... & 권용일. (2006). 골반경하 전자궁적출술 (TLH) 과 골반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TH) 및 복식 전자궁적출술 (TAH) 에 관한 임상적 고찰.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9(3), 644-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