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학론_유랑과 노래하는 시절 비교, 춘풍 특강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4.11.18
- 최종 저작일
- 2024.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영상문학론_유랑과 노래하는 시절 비교, 춘풍 특강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화하기-삽화와 스틸로 본 「유랑」과 「노래하는 시절」 비교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춘풍>의 매체 전환과 문화사적 의의: 영화 소설의 새로운 가능성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1920-30년대 영화소설과 시나리오
1920년대 후반, 조선의 문학계와 영화계는 흥미로운 변화를 맞이했다. 나운규의 <아리랑>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조선 영화는 ‘독자성’을 인정받게 되었고, 이는 ‘영화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영화소설은 “영화를 보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장르로, 영화와 문학의 특성을 동시에 지닌 독특한 형식이었다. 특히 1920-30년대 무성영화 시대의 영화소설은 ‘보이지 않는 것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과제에 직면했다. 소리가 없는 영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물의 내면과 감정을 시각화해야 하는 도전에 맞서야 했다. 더욱이 당시 영화소설은 영화 제작과 동시에 신문에 연재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영화적 상상력을 문자와 이미지로 동시에 구현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제시했다.
영화소설은 시나리오와는 달리, 단순한 영화의 각본이나 줄거리 요약을 넘어서는 독자적인 문학 형식을 추구했다. 공성수(2017)의 지적처럼, “영화소설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독자로 하여금 영화적 환영(幻影)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데” 있었다.
참고 자료
백문임, 김다영, 이만강, 최우정 (2024). 『키네마: 영화소설과 시나리오 1』. 보고사.
강옥희 (2006). 「식민지 시기 영화소설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32, 181-213.
강현구 (2004). 「영화소설의 시대별 고찰. 『어문논집』 49, 490-527.
공성수 (2017). 「1920년대 영화소설의 이미지 텍스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1), 501-514.
오문석 (2009). 「영상언어와 국어문화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적인 것과 시적인 것. 『한민족어문학』 55, 29-52.
한상언 (2017). 「안석영의 영화소설 〈노래하는 시절〉 연구. 『근대서지』 16, 317-339.
안석영, 영화소설 「춘풍(春風)」. 『조선일보』 1935.02.10.- 04.14
안석영, 시나리오 「춘풍」. 『조선중앙일보』, 1935.09.17.-10.08.
공성수,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 :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소설 삽화」, 소명, 2020
김상민, 「박기채의 영화예술론 연구-‘예술사회학’과 ‘향토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93, 2023. 4.
이재현, 「디지털 에크프라시스 : ‘멀티미디어로의 전환’과 언어적 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