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연구방법론 연구계획서 A+++ - 감염병 환자 담당 간호사의 스트레스, 피로도가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목차 보시면 연구 필요성부터 해서 목적, 가설, 용어정의, 설계, 자료수집, 분석방법까지 정말 꼼꼼하게 작성한 자료 입니다. 부록으로 연구 참여 동의서와 설문지 모두 첨부되어 있으며 이 과제 A+ 받았습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4.11.02 최종저작일 2024.06
14P 미리보기
간호연구방법론 연구계획서 A+++ - 감염병 환자 담당 간호사의 스트레스, 피로도가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목차 보시면 연구 필요성부터 해서 목적, 가설, 용어정의, 설계, 자료수집, 분석방법까지 정말 꼼꼼하게 작성한 자료 입니다. 부록으로 연구 참여 동의서와 설문지 모두 첨부되어 있으며 이 과제 A+ 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가설
    4. 용어정의

    Ⅱ.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자
    3. 측정도구
    4. 자료수집 및 윤리적고려
    5. 자료 분석 방법

    Ⅲ. 참고문헌

    Ⅳ.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2. 설문지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2000년대 이후, 2003년 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를 시작으로 2009년 A형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2015년 MERS (중동 호흡기 증후군), 2019년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까지 우리나라는 여러 번 감염병으로 인한 피해를 겪었다. 현재 COVID-19는 빠른 감염 속도와 높은 감염력을 지닌 호흡기계 질환으로 전 세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2021년 5월 14일 기준 전 세계에 COVID-19로 인해 총 1억 6천 명 이상의 감염자가 발생했고, 3백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1). 또한 COVID-19로 인해 바뀐 생활 때문에 사람들은 이전보다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우울 등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im, 2020).
    일반인보다 의료진, 특히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는 COVID-19로 인한 불안과 스트레스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Huang, Han, Luo, Ren & Zhou, 2020). 의료진들은 동료의 감염과 환자의 사망으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느끼고, 감염 위험에 대한 불안감과 긴 시간 착용해야 하는 보호장구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또한 이로 인해 의료진들은 불면증, 피로감까지 느끼게 된다(Ryu & Choi, 2018). 더 나아가 위와 같은 심리적 상태는 감염된 환자를 간호하는 데에 영향을 끼치며, 신종 감염병에 대해 간호사가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Park & Lee, 2021). 결과적으로 간호사의 감염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간호하고자 하는 간호 의도가 낮아질 수 있다(Jeong, 2018).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피로도가 간호사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Lee, Y. J. & Lee, M. H, 2013; Yang, Choi & Kim, 2017) 등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피로도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뤄졌다. 그러나 여러 신종 감염병의 발생은 급속하게 이뤄지고 있고, 감염병 환자를 담당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스트레스와 피로도가 일반 병동의 간호사보다 높을 것이라 예상되지만 감염병 담당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피로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참고자료

    · 김매자 & 구미옥. (1984).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4(2), 28-37.
    · 오남희(2016),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 감염병 환자
    · 간호의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 이지연(2018). 간호사의 신종 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임영아. (2021).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 및 감염관리 인지도가 감염관리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2(1). 2605-2617
    · 장은희(2013).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 개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 Arthur, D. (1990).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s [master’s thesis]. Newcastle University, London
    · Huang, J. Z., Han, M. F., Luo, T. D., Ren, A. K. & Zhou, X. P. (2020). Mental health survey of medical staff in a tertiary infectious disease hospital for COVID-19. Zhonghua lao dong wei sheng zhi ye bing za zhi= Zhonghua laodong weisheng zhiyebing zazhi= Chinese journal of industrial hygiene and occupational diseases, 38(3), 192-195.
    · Jung H. J.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lf-direct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lanned Behavior Theory: MERS Scenario Experience and Nursing Inten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2), 1035-1048.
    ·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Lee, Y. J., Lee, M. H. & Bernstein. K. S. (2013).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2(2), 77-87.
    · Park, Y. J. & Lee, S. R. (2021).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al beliefs to care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VID-19)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2), 522-528.
    · Ryu, J. G & Choi, S. M. (2018). Association of Sleep Disturbance, Fatigue, Job Stress and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 in Shift-work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3), 187-195.
    · Schwartz, J. E., Jandorf, L. & Krupp, L. B. (1993).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7(7), 753-762.
    · Sim, M. Y. (2020).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Medicine, 95(6), 360-363.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May 13). WHO Coronavirus (COVID-19) Dashboard. Retrieved from https://www.who.int/emergencies/diseases/novel-coronavirus-2019
    · Yang, E. O., Choi, I. R & Kim, S. M. (2017). The Impact of Sleep Disorder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Shift-Working Nurses. Stress硏究, 25(4), 255-264.
  • 자료후기

    Ai 리뷰
    본 연구는 감염병 환자 담당 간호사의 스트레스, 피로도가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감염병 환자 간호 시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