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간호연구방법론 연구계획서

미마몽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02.21
최종 저작일
2022.05
1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간호연구방법론 연구계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목적
2. 용어 정의

Ⅱ. 문헌고찰
1. 전공만족도
2. 사회적지지
3. 간호전문직관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방법 또는 연구 진행절차
5. 자료분석방법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Ⅳ. 연구결과 기대효과 및 활용

Ⅴ. 참고문헌

Ⅵ. 부록: 연구도구

본문내용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의문의 폐렴으로 시작한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팬데믹은 강력한 전염력과 빠른 전파 속도로 폭발적인 감염자 수를 만들어내며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에서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하도록 이끌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세계적대유행(pandemic) 현상은 그 동안 진행해 온 학습방법에 대해서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김자숙, 박아영,2020). 지금까지 가장 고전적인 학습방법은 학습자가 학교라는 공간에 직접 가서 대면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이었다면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 사회는 엄청난 변화 속에서 초ㆍ중등학교, 대학교까지 학습이 비대면 수업이 일반화되었다(김자숙, 박아영, 2020). 교육부에서는 거리두기 단계별 체계 기준에 의한 격상에 따른 학사운영 조치사항으로서 비대면수업을 권고하였다(김자숙, 박아영, 2020; 교육부, 2020).
이러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비대면수업으로의 급변하는 상황은 학생과 교수자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하였다. 간호학과는 교육과정에서 국가시험 전공교과목 총 학점은 평균 이론 43학점, 실습 24학점으로 구성되어 대면수업이 필요한 실습수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면수업의 중요도가 높다(김미원, 박정모, 한애경, 2011). 이렇듯 간호학과 수업방법은 대면수업이 상당히 요구되고 있으나, 예측하지 못했던 사회적 상황 속에서 비대면수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지각하는 정도를 분석한 연구에 의하면 비대면수업의 ‘편리하고 수월함’보다는 대면 수업의 ‘상호작용의 충분함’을 더 그리워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비대면수업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김상남, 2020).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방역체계는 일상생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이소영, 최혜진, 2021).

참고 자료

강경숙, 고영숙 (2016).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1(2), 179-189.
강현숙, 조결저, 최남희, 긴원옥 (2002), 내러티브를 통한 임상간호사의 간호정체성, 대한간호학회지, 32(4), 470-481.
고정은, 김미희, 김은지, 김혜지, 엄지은, 이행아, 장누리, 장동은 (2011),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일 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간호학회지, 29-44.
교육부 (2020.12.7.).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에 따른 학사 운영 조치사항 등 안내.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82885&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에서 2021년 5월 12일 인출.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3(3), 285-292.
권현주, 남영희 천의영. (2012).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3(2), 17-27.
김계현,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 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연구, 1(1), 7-20.
김귀분,김혜숙,이경호 (2001), 간호사의 업무갈등, 대한간호학회지, 31(3), 492-505.
김덕진, 이정섭 (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244-254.
김미원, 박정모, 한애경 (2011). 4년제 간호학과 교과과정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3), 416-425.
김미화, 서지영 (2021).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을 수강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77-86.
김분한, 정복례, 김진경, 이애영, 황선영, 조준아, 김정아 (2013). 우리나라 간호인력 수급 현황 및 향후 전망. 한국성인간호학회지, 25(6), 701-711.
김상남 (2020).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비대면(on-line) 수업의 내용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477-491.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김영선, 김향하, 김정이 (2021).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2), 171-184.
김원종·이중근 (2021).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인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247-250.
김윤희 (2012), 남자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자숙, 박아영 (2020). 코로나19(COVID-19) 비대면 온라인 학습 참여자의 자기통제력 예측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8(9), 453-461.
김태경, 박연경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3), 1-13.
김희정 &, Sherman D. K. &, Taylor S. E. (2008), Culture and Social Support, American Psychologist, 63(6). 518-526.
김희정 (2017).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 대학 몰입의 경로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40-50.
류영옥, 고은 (2015).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2(1), 7-15.
문미영, 황선영 (2016).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403-418.
박미정, 전원희 (2016).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1), 34-41.
박재우 (2020).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주옥, 권혜진, 성석용 (1995). 임상간호사의 간호 전문직 태도와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중앙의대지, 20(1), 79-87.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현미, 석자영, 박소연, 이소영 (2020).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7(5), 1151-1158.
박현정, 오재우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 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417-426.
박현주 (2015).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2), 227-236.
방경숙, 조진경 (2008). 일개 간호대학생과 졸업생의 전공 및 진료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과학회지, 14(1), 88-97.
보건복지부 (2021.5.6.). 2021년 1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발표.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65582에서 2021년 5월 11일 인출.
서미, 최보영, 조한익. 2006.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7(2), 271-288.
서병우 (2013). 대학생의 특성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3(2), 65-81.
서정화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태성, 송영아 (2015).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21(1), 10-17.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2014).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22(1), 23-33.
오금숙, 이미경 (2015). 간호대학생의 융합프로그램을 이용한 인턴십 체험.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5), 173-185.
오영란 (2004).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경완, 문인오, 박숙경 (2013).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4(2), 15-27.
이경임, 정경순 (202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8(1), 77-86.
이경혜 (2016).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건강학회지, 6(2), 29-38.
이동재 (2004).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희 (2018).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인문사회 21, 9(4), 1605-1620.
이상영, 정진욱, 황도경, 손창균, 윤시몬, 채수미, 차미란, 김효진 (2015) 한국사회의 사회ㆍ심리적 불안의 원인분석과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22.
이선영, 이정숙 (2017).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사회적 지지가 학과만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12), 403-412.
이소영, 최혜진(2021).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의 일상생활 변화 잠재계층유형, 영향요인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학교사회복지, 401-427.
이수희, 정갑연 장용운. (2016). 미용관련학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학과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상업교육연구, 30(3), 21-47.
이아람(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진로정체 감과의 관계.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하나,김주현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임파워먼트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292-300.
임선영, 김소영, 최혜미 (2015).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전문직관과의 관계. 문화기술의 융합, 1(2), 45-51.
임세미(2020).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영향요인. 융합정보논문지, 19(5), 51-59.
장문영 (2005).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효진, 임정하(2010).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1), 67-78.
정미현, 신미아 (2006).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170-177.
조결자, 백승남(2004). 4년제 정규과정과 RN-BSN과정 간호학생의 간호관 비고. 간호행정학회지, 10(4), 417-425.
조결자, 송미령(1997). 간호학생의 간호관 형성과 변화양상. 간호행정학회지, 3(1), 17-35.
조정애, 김정선 (2016).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587-595.
최현주 (2017).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68-77.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상숙, 김명희, 윤은경 (2008).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73-79.
한승희 (2018).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7), 379-389.
한영미 (2020).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합학회지 18(5), 367-374.
함연숙, 김화순 (2012). 학제에 따른 졸업학년 간호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비교.기본간호학회지, 19(3) ,363-373.
허영미(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은희, 신수진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1), 97-108.
Barro, D., West, E., & Reeves, R. (2007).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2(1), 46-51.
Cohen, S. & H. M. Hoberman(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gg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 Adams and B. K. Mille (2001). Professionalism in nursing behaviors of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7(4), 203-210.
Hampton, G. M., & Hampton, D. L. (2004).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The case of Certified Nurse–Midwiv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9), 1042-1053.
L. Berkman & S. Syme (1979). Social networks, host resistance, and mortality: A nine-year follow-up study of Alameda Country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09(2), 186-204.
Linda, Y. (2017), Professionalism in nursing, Medsurg Nurs, 26(5), 293-294
M. J. Schank & D. Weis (2001). Service and education share responsibility for nurses’ Value development. J Nurse Staff Dev, 17(5), 226-231.
M. Stroebe. & W. Stroebe (1983). Who suffers more? Sex differences in health risks of the widowed. Psychological Bulletin, 93(2), 279–301.
S. Pressman, S. Cohen, G. Miller, A. Barkin & B. Rabin (2005). Loneliness, Social network size, and immune response to influenza vaccination in college. freshman. Health Psychology, 24(3), 297-306.
Vinokur AD, Van Ryu M. 1993. Social support and undermining in close relationship; Their independent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unemployed pers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350-359.
Weis, D, & Schank, M. J. (2000).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 32(2), 201-204.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미마몽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간호연구방법론 연구계획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