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는 사회 전반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는 온라인 교육의 전면 시행이라는 특단의 조치가 취해졌다. 교육 시스템의 대전환이 이뤄지는 가운데 비대면 온라인 교육, 원격 교육, 이러닝, 온라인 수업 등의 키워드들이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2022년에 찾아온 엔데믹 상황 속에서 온라인이 뉴노멀로 자리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사람들은 다시 오프라인 방식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공연, 스포츠, 전시 등 예술과 스포츠, 여가 분야로 사람들이 몰렸다. 반면, 교육 현장은 코로나19 이후 강제적 디지털 전환을 이루고 학습자가 가정 혹은 카페 등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온라인 교육을 받는 방식이 일상화되었지만 온라인 교육의 취약점과 대비해 오프라인 교육의 강점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교육자와 학습자의 물리적 시공간의 제약을 해결하고, 흥미 요소를 채용할 수 있는 등 온라인 교육의 강점을 외면할 수는 없다. 또한 AI 기술이 점점 발전해 가는 현실에서 오프라인 교육에만 집중한다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엔데믹 이후 교육 현장에서는 온라인 교육의 취약점을 개선하고, 이를 보완하는 방향의 다양한 수업 방식을 실험해 왔다. 하버드대학을 뛰어넘는 경쟁률, 사이버 대학의 전형으로 주목받는 ‘미네르바 스쿨’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활용 능력과 유추 등을 계발하며, 학습의 45%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진행되는 만큼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된 ‘스티브 잡스 스쿨’의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학교의 설립 취지를 가져와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한 사례들이 많지 않지만 나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진행된 온라인 교육의 학습 효과성과 함께 코로나19 기간 부각된 온라인 교육의 취약점 및 개선 사항과 온라인 교육의 상호작용성을 높이는 기술 사례를 알아보고, 그 기술의 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서윤경, 고명희, 김수영, 전병호, 83p 「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29권 제1호, 제16권 제3호, 2020.9
· https://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28851207567.pdf
· 박기락, 「지난해 서비스업 매출 3000조원 돌파…엔데믹에 공연·운동 수요↑」, 아주경제, 2023.12.19.
· https://www.ajunews.com/view/20231219111428148
· 김경은, 「기로에 선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 사업 접거나 체질 바꾸거나」, 아주경제, 2023.2.14.
· https://www.ajunews.com/view/20230214100921417
· 박제우, 「엔데믹 시대에 교육산업이 나아갈 방향성」, 연세대학교 경영혁신학회, 2022.12.01.
· https://brunch.co.kr/@bitinsight/406
· 이용상, 신동광,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0, Vol.23, No.4, pp.39~57
· https://www.dbpia.co.kr/pdf/cpViewer
· 김성희, 「디지털 빅데이터 교실에서 스마트 교육의 실제와 활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4), 279~286p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73971
· 김지원, 박영신, 김경이, 양길석, 「COVID-19에 따른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경험 분석」, 『교육연구』, 제80집, 2021.8.
· https://www.dbpia.co.kr/pdf/cpViewer
· 이현주, 「교육의 차별화 지향하며 형평성 포용성 높이는 AI 활용 필요」, 『OECD 세계는 지금』, 제80집, 2023. 9월호, 51~53p
·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fcode=00002000040000100010&cidx=14456&sel_year=2024&sel_month=01&pp=20&pg=1
· 한형종,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 및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 No.12, 2020, pp. 69-79
·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2008540580059&oCn=JAKO202008540580059&dbt=JAKO&journal=NJOU00557104
· 이명구 외, 「2025 교육산업의 미래: 기술혁신과 플랫폼, 공유경제를 중심으로」, 『ISSUE MONITOR』, 제10호, 2019.7.
· https://assets.kpmg.com/content/dam/kpmg/kr/pdf/2019/kr-issuemonitor110-2025-future-education-20190709.pdf
· 이대현, 「이러닝vs스마트러닝vs에듀테크」 , 위메이크뉴스, 2024.4.9.
· https://wemakenews.co.kr/news/view.php?no=18392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에듀테크 도입을 위한 가이드북」, 보도자료, 2023.9.19. https://www.keris.or.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88&nttSn=40134
· 장현숙, 이민지, 「온라인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상호작용 방안」 , 두하우컨설팅, 2021.4.
· http://linkedhrd.com/magazine/654/wskim/
· 김제림, 고민서, 김형주, 명지예, 「코로나에 공교육 붕괴」, 매일경제, 2021.5.11.
· https://www.mk.co.kr/news/society/9866632
· 김재춘, 「캠퍼스 없는 혁신 대학, 미국의 미네르바스쿨」 , 『The-K 리포트』, 한국교직원공제회, 2007
· 정예준, 「해외로 눈을 돌리면 대전의 미래가 보인다」 ,한국일보, 2022.12.28.
·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908630
· 황대훈, 「미리 가본 디지털 교육의 미래, 예체능·정서 관리까지」 , EBS, 2023.4.6.
· https://news.ebs.co.kr/ebsnews/allView/60336482/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