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우리 나라 방과후 학교의 활성화 방안

"우리 나라 방과후 학교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4.07.02 최종저작일 2024.06
8P 미리보기
우리 나라 방과후 학교의 활성화 방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우리 나라 방과후 학교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나. 연구목표 및 독창성
    다. 선행연구 혹은 관련연구
    라. 연구내용 및 방법
    마.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
    바. 참고문헌
    사. 연구 추진 일정표

    본문내용

    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우리나라의 방과후 교육은 1996년 방과 후 교육활동으로 시작된 이후, 10여 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학교 현장에서 폭넓게 확산되었다. 방과후 교육은 학생들의 특기와 적성을 신장시키고, 학습의 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교육적 수단으로 자리 잡아왔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일부 중등학교에서는 입시 위주의 교과 교육에 밀려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방과후 교육이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 함양이라는 중요한 교육적 목표를 저해하고 있다.

    방과후 교육은 처음 제안된 1995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정책 변화와 맞물리면서 변화해왔다. 초기에는 학생들의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교육과정의 방안으로 구안되었으나, 1996년 초부터 사교육비 절감의 목적이 추가되었다. 이후 2004년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사교육비 경감 방안에 포함되면서, 중ㆍ고등학교의 경우 방과후 수준별 보충학습과 자율학습이 허용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방과후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학습 기회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현재 방과후학교의 도입은 방과후 교육의 본질을 제대로 회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생각된다. 특히 교과 수업의 보완은 수준별 보충학습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교과와 관련된 특기 및 적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일반 교과의 핵심 내용을 주입식이나 설명식이 아닌 토의ㆍ토론 방법, 실험중심학습방법 등을 활용하여 지도할 수 있다면, 학생들은 교과 진도에 얽매이지 않고 마음껏 토의하고 토론하며 궁금증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학습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사고력 증진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교사 역시 과밀학급에서 진도 때문에 하지 못했던 다양한 내용과 방법을 다시 배우고 연구하며, 가르치는 과정에서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경기도교육청(2004). 미국ㆍ캐나다 「방과 후 교육활동」 운영사례. 경기도교육청.
    · 경기도교육청(2005). 캐나다ㆍ미국 방과후 특기ㆍ적성 교육활동 운영사례. 경기도교육청.
    · 교육부(2000. 6). 2000 특기ㆍ적성교육활동 운영 현황. 교육부.
    · 구자억, 김재춘, 박태준, 윤종혁, 정영근, 황규호(1997). 동서양 주요국가들의 교육. 서울 : 문음사.
    · 김민호(2006a). 미국의 방과후학교 운영 현황과 시사점. 학교혁신과 방과후학교 운영 세미나 자료집. 연구자료 RM 2006-79. 한국교육개발원.
    · 김민호(2006b). 방과후학교의 성공은 지역사회에 달려 있다. 교육개발 겨울호. 한국교육개발원.
    · 김수동, 김정주(2004). 국내외 방과후 교육활동 사례 수집 및 분석ㆍ유형화. 연구보고 CRI 2004-2.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수동, 왕석순(2000). 초ㆍ중등학교 특기ㆍ적성교육의 효율적 실행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0-4.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수동(2006a). 지역사회와 연계한 방과후학교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 방안 탐색. 지역발전연구, 9, 42-60. 동국대학교 지역정책연구소.
    · 김수동(2006b). 방과후학교 확대 정책의 실천 전략과 운영 방향. 연수논총, 24, 1-27. 교육인적자원연수원.
    · 김수동(2006c). 외국의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 사례. 경기교육, 통권 170호, 43-53. 경기도교육청.
    · 김홍원, 구자억, 김수동, 조덕주, 김연석(2006). 방과후학교 성과분석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정책연구과제 2006-공모-39. 교육인적자원부.
    · 왕석순(2000). 초등학교에서의 효율적인 특기ㆍ적성교육 실행 방안. 특기ㆍ적성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및 우수 사례 발표 세미나 자료집. 연구자료 ORM 2000-12. 서울 :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 윤종혁(2000). 일본의 특기ㆍ적성교육. 초ㆍ중등학교 특기ㆍ적성교육의 효율적 실행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0-4.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및 배경변인 분석-. 연구보고 RRE 2004-2-1.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日本 文部省(1992). 高等學校 學習指導要令.
    · 日本 文部省(1992). 中學校 學習指導要令.
    · 高橋哲夫編(2000). 特別活動硏究. 東京 : 敎育出版.
    · 日本東京都敎育廳(1996). 生活指導硏究.
    · 日本文部省(1999). 我が國の文敎施策.
    · 日本涉谷區敎育委員會(1998). 內部統計資料.
    · 槇常三(1992). 中學校クラブ活動ㆍ部活動の彈力的運營. 東京: 明治圖書.
    · Miller, B. M.(2003). Critical Hours: Afterschool Programs and Educational Success. Nellie Mae Education Foundation.
    · Michael Barber, Kate Myers, Tim Denning, Jim Graham, Michel Johnson.(1997).
    · School performance and extra-curricular provision(A report for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Employment). http://www.dfee.gov.uk/perform/extracur.htm.
    · Schwab, K.(1995). Overcoming Indifference. 장대환 역(1997). 21세기 예측.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 Minist re de l'Education Nationale, B.O n. 29, 1998.
    · http://www.ed.gov(2000.4)
    · http://www.ncjrs.org/ojjhome.htm(2000.4)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연구는 방과후 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