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항생물질 (생명연구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4.04.05
- 최종 저작일
- 2022.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천연 항생물질 (생명연구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연구보고서 (생명세특)
1)연구 주제
2)연구의 필요성
3)연구의 목적
4)연구 문제
5)가설의 진술
6)용어의 정의
2.문헌조사
1)연구 문제의 중요성
2)연구 주제의 실태와 상황 : 연구 문제의 위치
3)연구의 문제와 문헌조사 결과의 관계
3.연구의 방법과 절차
1)자료수집 절차와 방법
2)토론
4.연구의 결론과 의의
1)연구 분야와의 관련성
2)기대되는 결과
3)활용방안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연구 주제
합성 항생물질을 대체할 천연 항생물질에 대한 탐구
연구의 필요성
최근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 효과가 점점 그 힘을 잃고 항생제 부작용은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2016년 국제연합(UN) 총회에서 항생제 남용을 반대하는 결의안이 채택됐고, 각국 정상들은 슈퍼 박테리아가 인류를 심각한 위험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동의했다. 현재 치명적인 슈퍼 박테리아 피해는 매년 7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수준이며 그 수는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항생제 남용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그에 따른 부작용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WHO 항생제 처방 권장치는 22.7%인데 우리나라의 항생제 처방 비율은 58.9%이라는 사실만 봐도 우리나라의 항생제 오남용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3,600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영국 정부에서는 2050년에는 1,000만 명이 죽음에 이를 것이라 예측했을 정도다. 특히 OECD 가입 국가 중 우리나라의 항생제 의존도는 높은 편이라 심각하게 항생제 내성 문제와 직면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목적
기존 합성 항생제의 부작용을 파악하고 차세대 항생제로 활용될 천연 항생제에 대해 탐구한다.
연구 문제
기존 합성 항생제의 남용은 건강에 여러모로 해로운 영향을 초래한다. 항생제 내성균을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장내 세균총을 교란시키며, 우리 몸의 자연적인 방어 효과를 상쇄해버린다. 기존 합성 항생제의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자연에서 천연 항생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에서 항생물질을 발견한다면 합성 항생제 내성의 부작용에 관한 우려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다.
참고 자료
참고 논문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로서의 항균 펩타이드] - 차연경, 김영수, 최유성
참고 논문 [천연물을 활용한 신약 개발 동향] - 김종표, 정희진
참고 논문 [Duck’s Science – 친환경 시대의 대비 항생제에 대한 기본 지식과 적용 원칙] -황정현 (AT사료 기술연구소)
참고 논문 [새로운 항생제 및 항진균제 개발 동향] - 김경록, 윤태미, 권형진, 서주원
[항생제 부작용에 대비한 천연항생물질] – 발효신문, 황세란 기자
[속수무책 ‘항생제 내성균’...자연에서 답 찾는다] - YTN사이언스, 이혜리 기자
[말 많은 항생제 대신 천연 항생제 어떨까?] - 건강다이제스트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에 관해 꼭 알아야 할 사실] - 국경없는 의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