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원자격취득 교직이론 '교육학개론' 과목, 학습과제 보고서입니다.
○ 단원명: 교육의 철학적 기초 > 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 20세기 전반의 교육철학 사조
○ 학습과제: 진보주의와 항존주의, 본질주의 교육사조를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 그리고 학생-교사 관계의 관점에서 각각 비교해 보고 그 장단점을 함께 논의하시오.
학습과제 수행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① 진보주의
② 항존주의
③ 본질주의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0세기는 세계사적으로 보면 격동과 변화, 혁신의 시대로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인류 역사에 있어서 희망과 절망의 극단을 오간 시기이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진보와 보수의 이념적 대립, 자유와 전통 간의 경쟁 구도가 끊임없이 반복된 시대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 배경아래 20세기 전반 교육철학 경향은 진보적인 교육사조인 ‘진보주의’와 보수적인 교육사조인 ‘항존주의’ 및 ‘본질주의’로 요약될 수 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20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교육철학 사조인 진보주의와 항존주의, 본질주의 교육사상을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 그리고 학생‧교사 관계의 관점에서 각각 살펴보고 그 장단점을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한다.
──────────────────────
▮ 진보주의
진보주의(progressivism)는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교사 중심적이며 지식 전달 위주의 전통적 교육에서 벗어나 아동의 개성과 자유, 경험과 흥미를 중시하는 아동 중심적이며 민주주의적인 교육철학을 제시한 교육이념이다.
진보주의 교육철학의 이념적 배경으로는 듀이(Dewey)를 중심으로 한 미국의 실용주의 철학과 루소(Rousseau) 등 유럽의 자연주의 교육철학을 들 수 있다.
실용주의 철학에 따르면, 인간은 경험으로 세계를 파악하므로, 우리가 아는 세계는 있는 그대로 실세계의 모습이라기보다는 우리의 경험 때문에 길러진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지식은 절대 불변적이지 않으며, 우리의 경험과 상호작용의 방식에 따라 변화한다고 보았다.
참고 자료
성태제 외 12명, 『최신 교육학개론(3판)』, 학지사, 2022, p. 104-109.
이기숙 외 3명,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06, p. 77-95.
이지헌 외 2명,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공감플러스, 2019, p. 323-332.
장봉석 외 3명, 『교육과정』, 형설출판사, 2020, p. 24-32.
조화태 외 2명, 『교육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p. 150-155.
조화태 외 2명,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p. 3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