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에서 A+ 받은 급성인두편도염 APT 케이스 스터디 자료입니다.
문헌고찰, 간호사정, 약물정리, 진단검사,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등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7) 예후 및 합병증
8) 예방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검사
(6) 임상 기록
(7) 통증 정도
(8) 의학적 치료 및 경과
2) 자료 분석 및 간호진단
3) 간호계획과 수행 및 평가
4. 결론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급성 인두편도염의 정의
급성 인두편도염은 인두염과 편도염을 포함한 인두의 급성 감염성 질환을 의미한다. 편도선의 존재는 질환의 빈도, 경과나 합병증에, 또는 감염에 대한 감수성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인두의 침범은 거의 모든 상기도감염에 수반되며 각종 급성 전심감염에서도 동반된다. 엄격한 의미에서는 급성 인두염은 주로 인두의 침범을 의미한다. 인두염은 1세 이하의 어린이들에게는 흔하지 않으며, 그 빈도는 4세에서 7세 사이에 절정에 다하나 소아기의 후반기나 서인까지 빈도는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편도선염이라 함은 그 중 목젖의 양옆에 있는 구개편도에 발생한 염증을 일반적으로 말하고 이때 대부분은 편도 뒷 목에 있는 목 부위의 점막에도 염증이 동반된다. 유아기에서는 다른 편도선보다는 오히려 인두편도로 인하여 수술이 필요할 경우가 많다. 인두편도 비대로 인하여 축농증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장액성 중이염도 일으킬 수 있다.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2. 급성 인두편도염의 원인
가장 흔한 원인균은 β 용혈성 연쇄상구균(GABHS)이며 성인에서는 5~15%, 소아에서는 15~30%를 차지하며 3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GABHS 감염은 매우 드물다. 이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원인균이 될 수 있다. 바이러스도 급성 인두편도염의 흔한 원인 병원체이며, 그 종류로는 아데노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 등이 있다.
학교에 들어가기 전의 아이들은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고, 그 이후의 아이들은 세균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는 보고가 있다. 선행하는 요인은 피로, 저온이나 고온에 노출, 상기도 감염, 대사성질환 및 면역질환 등으로 알려져 있다.
3. 급성 인두편도염의 증상
대부분의 경우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난다. 뒤이어 인후통이 발생하고, 주변 인후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두염이 생길 수 있고,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간호진단]
1. 질환과 관련된 고체온
2.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제 7판 상권 (현문사, 황옥남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Marilyn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Meg Gulanick, jucith L. Myers)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이은희 외 9명)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급성 편도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740&cid=51007&categoryId=51007
[차병원 건강칼럼, 급성 편도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1483&cid=63166&categoryId=51024
[고려대학교의료원 건강칼럼, 급성 편도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72639&cid=63166&categoryId=59314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편도염과 후두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53342&cid=58505&categoryId=58519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칼럼, 급성 편도염과 인두염 그리고 만성 편도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8866&cid=63166&categoryId=5101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급성 인두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739&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인두통 및 인후통]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383&cid=51007&categoryId=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