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 (급성인두편도선염)
- 최초 등록일
- 2020.11.19
- 최종 저작일
- 2019.04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 (급성인두편도선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질병에 대한 기술(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진단
(4) 치료
(5) 간호
3. 대상자 사정
1) 대상자 간호력
2) 간호사정
3) 대상자 기록지 고찰
4. 간호과정 기록지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해당 병원의 아동 병동의 경우 호흡기계, 소화기계의 문제로 입원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다양한 호흡기계 문제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바로 급성 인두 편도염이다. 대표적인 질환인 만큼 해당 질병에 관한 증상과 치료, 간호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해당 질병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였다.
또한 처음에는 활력징후를 체크하면서 다양한 아이들을 접하였다. 그런데 해당 환아는 열이 쉽게 떨어지지 않아 지속적으로 체온측정을 해야 했기 때문에 다른 환아보다 자주 보게 되었다. 체온을 측정할 때마다 특히 울음이 심하여 자다가도 매번 깨서 깊은 잠을 취하지 못하는 것이 눈에 밟혔다. 그러던 중 인계에서 어머니가 필리핀 분이셔서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을 듣고 더욱 관심이 가게 되어 해당 환아에 대해 조사하게 되었다.
2. 질병에 대한 기술(문헌고찰)
(1) 병태생리
정의
급성 인두편도선염이란 급성 상부호흡기 감염증에 포함되는 질환으로, 인두와 편도에 감염이 된 것을 의미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나 1세 이하의 어린이들에게는 흔하지 않으며, 5~15세 사이에 가정 밖에서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며 감염에 노출된다.
인두는 비강에서 후두를 거쳐 폐로 가는 호흡의 통로와 입에서 식도를 거쳐 위로 가는 음식의 통로이다. 인두는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코질환, 구강질환, 후두기관지질환, 식도질환이 영향을 주어 염증이 잘 생길 뿐만 아니라 염증을 옮기는 매개 역할을 한다.
편도란 목의 안쪽과 코의 뒷부분에 위치하여 우리 몸의 바깥으로부터 침입할 수 있는 세균 등의 물질로부터 일차적으로 우리 몸을 방어하는 조직이다. 편도선은 면역기능, 조형기능, 내분비기능, 비타민 생성, 소화기 기능 등을 하며, 항체 생성이 가장 필요한 소아기 때는 편도의 왕성한 활동으로 크기가 증가하나 사춘기를 전후해서 점차 저항력이 증가하면서 퇴화한다. 편도조직에는 인두편도, 이관편도, 구개편도, 설편도 등이 있다.
참고 자료
Joyce Newman Giger 외 (2011). 다문화 간호, 엘스비어코리아.
김미혜 외 (2014).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안옥희 외 (2014). 다문화와 간호, 정담미디어.
원종순 외 (2010).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조결자 외 (2000).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Ⅱ, 현문사.
KIMS 의약정보센터 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