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과정 기반 장애영유아 교수방법에 대해 조사한 후 이에 대해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3.03.22
- 최종 저작일
- 2023.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장애아지도
주제: 유아교육과정 기반 장애영유아 교수방법에 대해 조사한 후 이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장애영유아 지도
1) 장애 영유아 교수방법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은 누구나 성장과 발달을 하며, 교육을 받으면서 더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장애를 가진 영유아들도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오늘날 특수교육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고 하지만 장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편견은 아직도 여전히 남아있는 숙제라고 할 수 있다. 장애영유아에 대한 입학거부가 법적인 제재를 받으면서 장애영유아는 일반 유아교육기관에도 입학하게 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장애영유아도 비 장애유아와 마찬가지로 자기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계발·신장하고자 하는 교육욕구를 가지고 있다(정영혜,1999).
장애유아나 비 장애유아 시기는 인간의 발달 과정 중에 가장 발달시기도 빠르면서 개인차도 크게 나타나게 된다. 비 장애유아는 자발적인 흥미를 보이는 반면 장애유아는 자발적인 흥미를 보이지 않으며 핵심이 되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차이라고 말한다(Montessori). 그래서 장애영유아 교육을 위해 교육환경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장애로 인한 지원 요구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장애의 특성을 잘 알고 장애영유아의 요구에 잘 반응하는 교사들의 자질 또한 요구된다. 교사가 사용하는 다양한 전략이나 교수방법으로 장애 영유 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달라진다. 전통적인 교수방법은 주제에 맞춰 활동을 계획하고 대집단으로 유아들에게 활동을 소개하고 설명하였다. 정해진 시간에 준비한 활동을 하도록 하며, 교사의 질문에 반응하고 교사가 결론을 내리게 된다.
참고 자료
이소현(2020).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김아람(2020). 장애전문어린이집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분석 및 지원요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성윤미(2017).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