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인과 위험요인
관상동맥질환은 관상동맥 내에 죽상경화성 병변이 진행되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쇄되어 발생한다. 관상동맥질환은 급성질환이 아니며 10~30년간 천천히 진행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진행률은 유전적 소인, 성별, 식이, 좌식생활습관, 흡연과 같은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다. 죽상경화증은 심장, 뇌, 신장에 관류되는 중간 정도의 동맥과 대동맥에서 분기되는 큰 동맥에 영향을 준다. 관상동맥질환은 심근의 산소 요구와 심근에 공급되는 산소의 불균형으로 인해 심근에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함으로써 협심증이 발생한다.
관상동맥질환을 초래하는 위험요인은 크게 조절 불가능한 요인과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1) 조절 불가능한 요인
(1) 연령: 연령이 증가할수록 관상동맥질환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연령이 증가된 상태에서의 사망률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높아진다.
(2) 가족력과 유전적 소인: 정확한 유전적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소인은 관상동맥질환 발생에 중요한 요인이다. 관상동맥 벽의 선천적 결함은 플라그를 쉽게 만들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가족력이 있으면 관상동맥질환에 더 쉽게 이환된다.
(3) 성별: 관상동맥질환은 35~40세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 5배 정도 발생빈도가 높으며, 60대에서는 남성의 발생빈도가 여성보다 약 2~2배 정도 높다. 혈청 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는 여성호르몬인 estrogen이 폐경기를 지나면서 감소하므로 여성의 관상동맥질환 발병률이 중년기에 비해 50대 이후에 상승하지만, 남성의 발병률이 더 높다. 그러나 경구피임약을 복용하거나 흡연을 하는 여성, 고혈압이 있는 여성은 관상동맥질환 발생위험이 더 높다.
2) 조절 가능한 요인
(1) 고지혈증(Hyperlipidemia): 지방대사의 세 요소, 즉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LDL), 중성지방은 흡연과 더불어 관상동맥질환을 유발하는 가장 위험한 요인이다.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준이 상승한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동맥벽으로 침투하여 내강을 좁게 하여 심장근육의 혈류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알려주는 강력한 지표다.
· "대한 멸균 생리식염수,"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6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41.
· “대한 하트만덱스주사액”,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6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9102200026
· “하나염산페치딘주”,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A-PETH25&searchKeyword
· “케토락 주”,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1068
· "트리젤 주,"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B0051
· "데노간 주,"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690A0608
· "트리악손 주사,"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5wor40h16cbbe
· "뮤테란 주사,"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khcgtkz0sut3c
· "씨앤유 캡슐,"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CDCA250&searchKeyword
· "포리부틴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PBUT100&searchKeyword
· “마그밀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MGMIL500&searchKeyword=
· “메디락디에스 장용캡슐”,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MEDI&searchKeyword=
· “마도파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MDOP02&searchKeyword=
· “가나칸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GANAK50&searchKeyword=
· “리피토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LIPIT10&searchKeyword=
· “무코스타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MSTA100&searchKeyword=
· “올메텍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OLME10&searchKeyword=
· “페브릭 정”,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FEBU40
· “벤토린 네뷸”,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OA-VEN2.5&searchKeyword
· “휴온스생리식염주사액”,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2950A0152
· “조프란 주”,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A-ZOFR8&searchKeyword
· “아트로벤토흡입액”, 약학정보원,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384
· “담낭염”, MSD 메뉴열, n.d. 수정, 2021년 10월 27일 접속,
·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A%B0%84-%EB%B0%8F-%EB%8B%B4%EB%82%AD-%EC%9E%A5%EC%95%A0/%EB%8B%B4%EB%82%AD-%EB%B0%8F-%EB%8B%B4%EA%B4%80-%EC%A7%88%ED%99%98/%EB%8B%B4%EB%82%AD%EC%97%BC
·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 (n.p.: 현문사, 2016), 468-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