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받았습니다. 진단3개 간호과정 1개 있습니다(간호진단 #1 :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정의, 치료, 진단, 간호 등
Ⅲ. 건강력 조사
Ⅳ. 간호과정
Ⅴ. 느낀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근래 들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는 것이 관상동맥 심장병인 협심증과 심근경색이다. 심장마비의 주원인은 관상동맥 심장병인데, 조사에 따르면 90년 초부터 우리나라 사망원인 가운데 첫째가 순환기계 질환으로 암 질환을 능가하고 있기 때문에 70년과 비교할 때 현재 관상동맥 심장병환자는 10배정도, 80년대 초와 비교할 때는 7배가량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이병은 조기발견과 치료가 병의 진전을 막고 사망률을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늦기 전에 이 심장병을 발견하고 바르게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더군다나 요즘 심장병의 위험요인이라고 볼 수 있는 성인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심장병 즉 관상동맥 질환 중 심근경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필요하다 여기며 케이스를 선정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subendocardial infarction, 심내막하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NSTEMI)
NSTEMI는 UA(불안정형협심증)와 비슷한 병리적 현상과 임상증상을 보인다. 둘 다 플라크의 파열로 심장동맥이 갑작스럽게 부분 폐색되어 혈류가 감소한다. 즉, 심장동맥의 죽경화, 플라크의 파열, 혈전, 혈류폐색으로 진행된다. UA와 달리 혈액지표가 변하고, EKG 변화가 지속되며, 사망의 위험이 높다.
참고 자료
황옥남·유양숙 외 , 「성인간호학 상권」 , 현문사 , 2019. 01 , P674-695
이웅현,「퍼시픽 간호학 개념서 성인간호학 1, 퍼시픽, 2021. 03, P298-307
네이버 지식백과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심근경색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10&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블로그 , “[심뇌혈관 질환이야기] 심근경색증의 시술과 약물치료 종류는?” ,
https://blog.naver.com/iccvc/222129780520
네이버 블로그, “CPK 수치가 높게 나올 때 의심할 수 있는 질환”
https://blog.naver.com/kh686712/222201864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