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무일(2002), 주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율과 연관인자, 대한내과학회지, 62(1) 1-3
· 김금자(2000), 중년남성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모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 김기수(1996),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 류마티스 건강 학회지, 3(1), 122-126
· 김명희, 김주성(2003), 여대생의 신체조성과 골밀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3(3) 312-320
· 김미경, 장준호, 남재현, 안철우, 송영득, 이용호, 임승길, 이현철, 허갑범(1999), 일차성 남성 골다공증의 원인 및 임상적 특성, 대한내과학회지, 57(3), 304-312
· 문숙희(1998), 폐경기 여성의 비만정도와 골밀도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와의 상 관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병원행정 전공 석사학위 논문
· 변영순(2002), 골다공증의 예방, 류마티스건강학회지, 9(2), 230-237
· 변영순, 김옥수(1999), 골다공증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생활양식의 관계연구, 대한간 호학회지,29(3), 530-539
· 변영순, 김옥수(2000), 여성의 생활양식 변화를 통한 골다공증 예방 교육프로그램 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30(3) 764-775
· 변영순, 신공범(1997),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정담
· 신경림, 강영미(2002), 일개 도서지역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자기효능감과 건강신 념간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1),89-99
· 오한진(1998), 노인 남성에서의 골대사, 가정의학회지, 19(11), 1125-1128
· 오한진(1999), 골다공증의 치료 및 호르몬 대체요법, 가정의학회지, 20(5),598-601
· 오한진(2000), 갱년기 골다공증의 치료, 가정의학회지, 21(1)20-27
· 오한진, 남기남(2000), 중년 남성의 골밀도와 연관된 성호르몬의 연관성, 가정의학 회지 ,21(2), 154-162
· 오희철(1993), 건강생활 양식의 측정, (출처) 연세대학교 예방 의학 교실, 15(1), 14-22
· 윤수진,이균상,문호성(1996),골다공증의관련요인,가정의학회지17(12), 1450-1461
· 윤은주(1998), 성인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재활간호학 회지1(1) 27-41
· 이영휘(2002),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4), 539-549
· 이은남(1998), 여성의 개인적 특성과 생활양식요인을 이용한 골량 감소 예측모형,
·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 논문
· 이향련, 김숙녕(2001), 골다공증 교육이 골절환자의 지식과 생활 양식변화 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1(2), 194-205
· 이혜영(2001), 여성 골다공증환자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의료행정학과 간호행정 전공 석사학위 논문
· 정승필(1998), 노인에서의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 가정의학회지, 19 (11), <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