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정신건강간호학-학교폭력(지원정책, 간호학적 중재, 피해자의 정신건강증진 제언)

정신간호학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자료입니다. 학교폭력 피해자의 지원정책, 피해자의 증상별 간호, 피해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제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부분에 대한 정보가 자세히 적혀있으니 참고하시기 좋고, A+받은 자료입니다!
1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2.06.24 최종저작일 2022.04
16P 미리보기
정신건강간호학-학교폭력(지원정책, 간호학적 중재, 피해자의 정신건강증진 제언)
  • 미리보기

    소개

    정신간호학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자료입니다.
    학교폭력 피해자의 지원정책, 피해자의 증상별 간호, 피해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제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부분에 대한 정보가 자세히 적혀있으니 참고하시기 좋고, A+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현황
    2. 지원제도
    3. 학교폭력 피해자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
    4. 학교폭력 피해자 정신간호중재 및 치료 방법
    5. 학교폭력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현황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추진근거: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제11조 및 동법시행령 제9조
    ⋅기간: 2021.4.5.~4.30.(4주) 온라인 조사
    ⋅대상: 초4~고3 재학생 전체 (대략 387만 명)
    ⋅내용: 2020년 2학기~응답시점까지 학교폭력 피해·가해·목격의 경험 등
    ⋅주체: 전국 시도교육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위탁)

    ⇒ 2020년 대비 증가 vs. 2019년 대비 감소
    2021년 전체 피해응답률은 1.1%이며 2020년 대비 0.2%p 증가, 2019년 대비 0.5%p 감소함

    ⇒ 2020년 대비 초등학생 증가 vs. 중⋅고등학생 감소
    학교 급별로 초 2.5%, 중 0.4%, 고 0.2%이며 2020년 대비 초 0.7%p 증가, 중 0.1%p, 고0.06%p 감소함

    ⇒ 언어·신체폭력 증가 vs. 집단따돌림, 사이버 폭력 감소
    피해유형 응답 건수는 2020년에 비해 언어폭력, 신체폭력은 증가(각각 2.5명, 1.0명)하고 집단따돌림, 사이버 폭력은 감소(각각 1.2명, 0.1명)

    ⇒ 언어폭력(41.7%)>집단따돌림(14.5%)>신체폭력(12.4%) 순
    피해유형별 비중은 언어폭력, 집단따돌림, 신체폭력, 사이버폭력, 금품갈취, 성폭력, 강요 등의 순서로 나타남. 초등학교에서 ‘언어폭력’, 중학교에서 ‘사이버폭력’의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음

    ◆언어폭력 대책마련이 필요함
    학교폭력 피해 관련 조사결과를 보면 집단따돌림, 사이버폭력은 응답 건수가 점차 감소하였다. 이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대응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 피해응답률 상승에 가장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언어폭력 비중의 증가와 초등학생의 높은 피해응답률에 대하여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9년에 비해서는 감소했지만 2020년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된 조사에 비해 피해‧가해‧목격 응답률이 증가하였다.

    참고자료

    · 교육부,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 학교폭력예방교육지원센터, www.stopbullying.re.kr
    · 전라북도 교육청, www.jbe.go.kr
    · 서울특별시학교안전공제회, www.ssia.or.kr
    · 건강증진연구사업,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 실태조사_ 서울대학교
    · KDI 경제정보센터_청소년기의 정신건강_김미경(성북아이정신과 원장), 청소년기의 정신건강_정신건강문제로 접근하는 학교폭력
    ·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737
    · 김희수, 이재토, 홍성훈.(2006).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이 학교적응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한국교육문제연구,(24),79-97.
    · 이은희·손정민(2011),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건강 영향 요인 연구; 탄력성 모델을 이용하여, 청소년복지연구, 13(2), 149-171
    · 조성희, 김혜선.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결험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2021.21(12).621-631
    ·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_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등의 조치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1408&ccfNo=4&cciNo=2&cnpClsNo=3&menuType=cnpcls&search_put=
    · 청소년기 또래관계의 형성을 통한 학교폭력상담의 활용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Use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전승혜, 산업진흥원 Industry promotion research=산업진흥연구v.5 no.4pp.55-6120202466-113
    · 학교폭력 및 청소년 상담 위기개입 매뉴얼 이영선외 9인 _한국청소년삼담복지 개발원
    · 푸른나무재단_삼담사업_ 상담 및 심리치료 https://btf.or.kr/business/bus01_02.asp?scrID=0000000108&pageNum=3&subNum=1&ssubNum=1
    · 학교폭력 가/피해자부모교육 프로그램_2012 청소년상담연구∙ 170_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보건복지부_국립부곡병원 https://www.bgnmh.go.kr:2448/bgnmh/board/bgnmhHtmlView.jsp?menu_cd=BM_02_07&no=325
    · 임숙빈 외. 정신간호총론(2017). 수문사
    · 수원교육지원청 미래국 혁신학생 지원과 2021학년도 학교폭력 관련 심리상담(치료)⋅일시보호기관안내
    · 홍현주. 학교 폭력 피해자/가해자의 이해와 치료.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 2012
    · 안동현. 청소년 정신건강장애. 대한의사협회지. 2009;52(8):745-757
    · 김은지. “청소년상담에서 치료동맹을 형성하는 상담자의 개입”,(국내석사,중앙대학교 대학원,2012)
    · 조성희, 김혜선.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결험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아 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2021;21(12):621-631
    ·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이야기. 학교폭력과 정신건강 https://amc.seoul.kr/asan/depts/psy/K/bbsDetail.do?menuId=862&contentId=252857
    · 경상북도교육청 학교폭력피해자지원센터 https://bullyinghelper.or.kr:8026/board/index.php?doc=program/doc.php&do_id=5
    · 푸른나무재단 https://btf.or.kr/company/com01.asp?scrID=0000000098&pageNum=1&subNum=1&ssubNum=1
    · 재단법인 월드선교회 유지재단 꿈나무 아동 종합상담소 http://www.dreamtree.net/development/development11.php?ptype=view&prdcode=1806180003&catcode=112300
    · 교육부,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 학교폭력예방교육지원센터, www.stopbullying.re.kr
    · 전라북도 교육청, www.jbe.go.kr
    · 서울특별시학교안전공제회, www.ssia.or.kr
    · 충청북도학교안전공제회, www.chungbuk.ssif.or.kr
    · 안전 Dream, www.safe182.go.kr
    · 해맑음센터, http://uri-i.kr/v3/index.php
    · 고진희, “학교폭력가해자와 피해자의 정신건강비교연구” (석사학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2009)
    · 성경미, 이한주. 폭력 피해 경험이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분석. 2013; 24(4), 407-418.
    · 박일아. 중학생 시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관련 프로그램 연구 동향.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22
    · 전신현, 이성식. (2017).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긍심 및 사회지지의 작용과 성별차이. 한국청소년연구, 28(2), 131-155.
    · 김영길. "학교폭력 경험에 따른 정신건강 비교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경기도
    · 김희수, 이재토, 홍성훈. (2006).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이 학교적응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24, 79-97.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61215570002214
    · https://www.jjan.kr/article/20210330729304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51809
    · https://www.law.go.kr/법령/학교폭력예방및대책에관한법률
  • 자료후기

      Ai 리뷰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다각도의 심층적 분석과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