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2.
· 비오, 11세, 회칙 “하느님이신 구세주”, 『교회와 사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4.
· 요한 23세, 회칙 “어머니요 스승”, 『교회와 사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4.
· 바오로 6세, 회칙 “주님의 교회”,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40,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9.
· 베네딕토 16세, 회칙 『진리 안의 사랑』,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9.
· 프란치스코, 회칙 『신앙의 빛』,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3., 권고 『복음의 기쁨』,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세계 주교 대의원 회의 제13차 정기 총회 의제 개요”,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44.
· 김성태, “바티칸 공의회”, 『한국가톨릭대사전』 제5권,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교회사연구소, 2004.
· 니체, 『즐거운 지식』, 권영숙 역, 청하, 1991.
· 발터 카스퍼, 『예수 그리스도의 하느님』, 김관희 역,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5.
· 배영호, “로마 가톨릭의 무신론과의 대결 그리고 대화”, 『이성과 신앙』 15, 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8.
· 박태범,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앙과 이성에 대한 소고”, 『가톨릭철학』 2, 한국가톨릭철학회, 2000.
· 변종찬, “비오 11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6권, 한국교회사연구소, 2004.
· 박영봉, “‘진리 안의 사랑’, 무슨 내용을 담았나?”, 『경향잡지』 1699,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9.
· 심상태, 『익명의 그리스도인: 칼 라너 학설의 비판적 연구』, 바오로딸, 2001.
· 아우구스트 프란츤, 『세계 교회사』, 최석우 역, 분도출판사, 2004.
· 이은영, “슈타인의 인격론”, 『인격』,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프란치스코·에우제니오 스칼파리 외, 『무신론자에게 보내는 교황의 편지』, 바다출판사, 2014.
· 양한모, 『교회와 공산주의』, 가톨릭출판사, 1987.
· 정의채, “무신론”, 『한국가톨릭대사전』 제5권, 2004.
· 정은규, “현대 무신론의 성격과 그 요인”, 『神學展望』 12,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1971.
· 하상헌, 『무신론의 발전과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교도권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 후베르트 예딘, 『세계공의회사』, 최석우 역, 분도출판사, 2005.
· 한스 큉, 『신은 존재하는가』, 성염 역, 분도출판사, 1994.
· 권문정, “무신론자, 세계적으로 급증… 한국은 5위 불명예”, 『크리스천투데이』(검색일: 2016.04.29).
· 하선영, “한국인 49% ‘종교 없다‘ 무신론자 비율 세계 12위”, 『중앙일보』(검색일: 2016.04.29).
· 정호승, “우리가 어느 별에서”,
· http://www.poemlane.com/bbs/zboard.php?id=poem&page=4&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08(검색일: 2016년 4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