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주택상품 기획 (대학연계형 행복주택 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개요
1-1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정의 03
1-2 사업대상지 개요 04
1-3 현황 분석 04
1-4 상품 SWOT 분석 06
2. 소비자 수요 분석
2-1 소비자 수요 분석의 의의 08
2-2 대학생 주거실태 및 주거수요 조사 08
2-3 거주자 관찰 리포트 09
2-4 대학생 집단심층면담 11
2-5 대학생 주거 키워드 도출 12
3. 사업 구상
3-1 종합 진단 14
3-2 상품 4P 전략 분석 15
3-3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상품 제안 15
3-4 마스터플랜 19
4. 기대효과 및 후기
4-1 향후 기대 효과 20
4-2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상품기획 후기 21
5. 참고문헌 22
6. 부록 #1 집단면담 기록지 23
본문내용
1.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개요
1-1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정의
1)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이란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이란 대학에서 부지를 제공하고 LH 토지주택공사에서는 주택을 건설해 해당 대학의 학생은 물론 인근 대학생까지 저렴한 비용으로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 유형
- 기존 행복주택이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젊은 층에 80% 이상 공급하는 것에 반해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은 대학생에게 공급되는 특징이 있음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은 해당 대학교와 연계하여 취업·창업 지원 시설 등의 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하는 등 편리하고 저렴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면서 청년 층의 꿈을 지원하는 학생 종합 복지주택의 성향을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존 행복주택과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구분
- 기존 행복주택은 청년, 대학생, 신혼부부 등 주거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젊은 계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한 목적으로 행복주택과 주민 공동시설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의 한 유형임에 반해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은 공급대상을 대학생으로 한정하여 대학생과 청년계층의 주거 및 취업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여 행복주택과 주민공동시설에 교육연구시설을 부가적으로 설치한 새로운 유형의 공공임대주택으로 C대학교에 최초로 설치될 예정에 있으며, 2020년 완공 예정으로 아직 국내에 설치·운용되지 않은 새로운 주택상품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1-2 사업대상지 개요
- 사업대상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창동 380 – 1 일원
- 공급 특징 : 일반행복주택과 달리 책상, 냉장고, 가스쿡탑, 빌트인가구, 스터디룸 등 대학생 맞춤형 시설을 제공할 것으로 보이며, 1인실과 2인실 세대 평면이 제공될 예정
[표] 사업대상지 사업 개요
[그림] C대학교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구상도 및 세대 평면(안)
1-3 현황 분석
1) 물리적 환경 분석
가) 지역 환경 분석
- 청주시는 교육도시로 특화된 지역으로 C대학교, 서원대학교, 청주대학교 등 8개의 대학교가 위치한 지역
참고 자료
강부성, 고소정, 이병민, 황윤진 (2016). 행복주택 니즈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32-1833
국토교통부,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2017. 11. 30.
권혁삼 외(2018). 대학협력형 공공임대주택 공급방안 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김종배 외(2013). 대학생 주거실태 분석 및 수요예측을 통한 기숙사 건립방안 연구. 한국장학재단
LH, 국내 첫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사업 추진한다. 노컷뉴스, 경남CBS, 이상현 기자, 2018.07.15
충북대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첫삽’ , 경향신문, 김종훈기자, 2018.11.25
「대학설립운영규정」, [시행 2019. 8. 1.]
「국유재산법」, [시행 2019.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