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행동 장애아를 교수할 때 인본주의적 모델, 행동적 모델, 인지학습 모델 중 하나를 선정하여 개념 및 특징에 대해
- 최초 등록일
- 2022.02.18
- 최종 저작일
- 2022.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특수아동이해
주제: 정서/행동 장애아를 교수할 때 인본주의적 모델, 행동적 모델, 인지학습 모델 중 하나를 선정하여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중재방안을 사례를 들어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서/행동 장애의 행동특성
2. 정서/행동 장애에 대한 인지학습모델의 기본 견해 및 중재방안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정서 및 행동 장애에 의한 다양한 정신병리의 위험을 지닌 장애 아동은 교육 환경에서 친구와 잦은 갈등을 만들거나 교사로부터 꾸중을 듣는 경우가 많다. 즉, 작은 사회 속에서 원만한 사회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 것이다. 아울러 수업시간 중 부적절한 문제 행동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어질 학업 영역에 대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도 많다. 그와 같은 이유에서 만약 장애의 초기 단계에서 문제 행동에 대한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반항하는 태도나 강압적 상호작용, 학습 준비도의 부족 및 공격성 표출 등과 같은 행동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학교 중퇴 및 약물중독, 그리고 가출 등과 같은 사회적 부정응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의 경우 현재의 문제행동을 최소화시키고 나아가 정서와 행동 상의 문제가 심각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정서 및 행동 장애아를 교수할 때 많이 사용되는 모델로는 인본주의적 모델과 행동적 모델, 그리고 인지학습 모델이 있는데, 이중 나는 인지학습모델을 선정해 그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설명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그를 활용한 중재방안을 사례를 들어 간략히 서술해 볼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본론과 같다.
Ⅱ. 본론
1. 정서/행동 장애의 행동특성
우선, 정서 및 행동 장애의 행동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기본적으로 정서 및 행동 장애에 따른 문제행동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질적 분류체계이고 나머지 하나는 양적 분류체계이다.
먼저, 질적 분류체계는 임상적으로 도출되어진 진단 체계로서,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과 국제보건기구의 국제질병분류가 있다. TR(2000)에서는 유아와 소아기, 그리고 청소년기에 처음으로 흔히 진단되는 장애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는데, ① 정신지체, ② 학습장애, ③ 의사소통장애, ④ 운동기능장애, ⑤ 전반적 발달장애, ⑥ 주의력 결핍, ⑦ 파괴적 행동장애, ⑧ 급식 및 섭식장애, ⑨ 배설장애, ⑩ 틱장애, ⑪ 기타 장애 등이 그것이다.
참고 자료
이성봉 외, 정서 및 행동장애, 학지사, 2014.
조윤경, 특수 아동의 이해 (유아교사를 위한), 공동체, 2019.
이영자, 영유아 언어교육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