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국제질서
- 최초 등록일
- 2022.01.19
- 최종 저작일
- 2020.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영서 ‘지리적 상상력’
2. 백낙청 ‘제3세계’
3. 평화적인 동아시아 질서구축의 선행 조건은?
본문내용
1. 백영서 ‘지리적 상상력’
백영서는 「동아시아」에서 “지역이란 이미 고정된 지리적 실체라기보다는 인간 상호간의 활동이 창조해낸 결과이다.”라고 말하였다. 이에 대해 쑨거는 백영서가 제시한 ‘인간 상호간의 활동’에 대해 흥미로운 문제라고 하였다. 또한 백영서는 책에서 동북아 국제관계의 내적 질서는 역사적으로 세 개의 제국(중화제국, 일본제국, 미제국)에 의해 순차적으로 주도되었다고 생각하지만, 중요한 것은 역사가의 눈으로 이 서로 다른 세 역사 시기에 나타난 제국 형태에 대해 가치판단이 아닌 분석을 진행할 때, 그의 의도가 ‘동아시아 공동체’의 지역상상으로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 상상의 기점은 문명론이 아니라 일종의 국제질서 담론이며 이러한 국제 정치적 시야에서 그는 이 세 ‘제국’이 하나의 범위 안에서 만들어낸 질서 사이에 모종의 연속성이 있는지, 그리고 이 연속성과 현실적 과제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에 주목한다.
참고 자료
김영진, 2016, 전통 동아시아 국제질서 개념으로서 조공체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남궁곤, 2003, 동아시아 전통적 국제질서의 구성주의적 이해, 한국국제정치학회
백영서, 2012, 신자유주의시대 학문의 소명과 사회인문학-쑨꺼와의 대담-, 국학연구원
백지운, 2012, 근대 중국 아시아 인식의 문제성-동아시아 평화공존을 위한 사상자원의 모색,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백지운, 2020, 민족문학, 제3세계, 동아시아-최원식의 동아시아론의 계보와 구조, 국학연구원
조성환, 2014, 동아시아공동체 형성 전략: 개방적 진화주의 패러다임의 탐구,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홍은정, 2017, 중국이 구상하는 국제질서와 동아시아지역질서 그리고 한반도 안보, 한중사회과학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