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건 분석(기업윤리, A+)
- 최초 등록일
- 2022.01.03
- 최종 저작일
- 2019.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삼바 사건을 미국의 엔론사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업 내 윤리성의 부재와 기업 윤리의 올바른 확대를 위해 개선해야할 점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였습니다. (A+)
목차
없음
본문내용
흔히들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라고들 한다. 나 또한 기업의 존재 이유는 이익을 도모하여 사회의 경제적 성장에 기여하는 것이 일 순위라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기업이 이익만을 추구한 끝에 발생한 노동 착취, 환경 문제 등이 논란이 되며 자연스레 기업 내 윤리 의식의 중요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후 1990년대부터 기업 활동의 투명성과 윤리성을 강조하며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형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경제적 책임이나 법적 책임 외에도 폭 넓은 사회적 책임을 적극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실천해야할 윤리적 책임의식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기업들 또한 윤리적 경영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적극 수행하고 있을까?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윤리경영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며 적극적으로 윤리경영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국가 주도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해 법과 제도 등을 정비하며 회계 등의 공시제도 또한 강화된 바 있었다. 그러나 최근 한국 바이오산업을 대표하는 삼성 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사건이 화제가 되며 국내 굴지의 대기업인 삼성이 한국 자본 시장의 근간을 훼손했다는 점에서 큰 파장이 일었다. ‘분식’이란 ‘실제보다 좋게 보이도록 거짓으로 꾸미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결국 분식회계는 회사의 실적을 더욱 좋게 보이도록 부당한 방법으로 회사의 장부를 조작한 회계 사기나 다름없는 것이다. 이 사건은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큰 화두에 올랐으며 여러 언론과 대중 사이에서도 질타가 빗발쳤다. 사회적 책임을 지기 이전에 의무로 여겨지는 법적 책임마저 무시한 삼성의 추악한 면이 아닐 수가 없다.
참고 자료
이상윤, 「지배력 기준에 대한 기업의 재량적 판단 가능성 : 삼성바이오로직스 사례」, 2018,
거래소, 삼성바이오 '상장유지' 결정…내일 거래재개, <연합뉴스>, 2018.12.10., https://www.yna.co.kr/view/AKR*************2008?input=1195m ,2019.04.14.
'삼성분식회계' 참여 회계법인은 양심 판 '공범'…성실·공정의 윤리강령 '실종', <금융소비자뉴스>, 2018.11.16., http://www.newsf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65 , 2019.04.14
증선위,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결론... 후폭풍은?, <뉴스락>, 2018.11.15., http://www.newsloc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300, 2019.04.14.
삼성 바이오로직스,‘고의 분식’ 결론...거래재개는 언제?,<한국경제>, 2018.11.14., https://www.yna.co.kr/view/AKR*************2008?input=1195m ,2019.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