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삼바) 분식회계 (소논문)
- 최초 등록일
- 2018.12.29
- 최종 저작일
- 2018.08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800원

목차
Ⅰ. 서론
Ⅱ. 분식회계의 의미와 문제점
1. 분식회계의 정의
2. 분식회계가 발생하는 주요 요인
3. 분식회계의 유형
(1) 대차대조표 분식회계
가. 자산의 과다 계상
나. 부채의 과소 계상
(2) 손익계산서 분식회계
가. 비용의 과소계상
나. 매출 과다계상
다. 특별항목 등의 분식
(3)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혼합분식회계
III. 국내 주요 대기업의 분식회계 현황
1. 대우
(1) 원인과 전개
(2) 분식회계 유형
2. SK 글로벌
(1) 원인과 전개
(2) 분식회계 유형
3. 삼성바이오로직스
(1) 분식회계 의혹의 개요
(2) 논란이 되고 있는 쟁점
가. 바이오젠 사가 콜옵션을 행사할 가능성
나.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대한 평가 금액의 적정성
다. 50%+1의 지분을 가진 회사의 ‘관계사’여부
(3)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개연성
Ⅳ. 결론 ; 분식회계 근절을 위한 강력한 대책의 필요성
본문내용
현직 대통령의 탄핵이라는 초유의 국정농단사태를 계기로 삼성 그룹의 경영권 승계과정에서 불법, 편법을 동원한 회계부정이 있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특히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시 특정인에게 유리하도록 제일모직의 기업 가치를 부풀리는 수법이 총동원되었는데 그 핵심수법으로 한국 대기업들의 고질적인 문제인 분식회계가 활용되었음이 드러나고 있다.
2015년 5월 26일 삼성그룹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9월1일자로 합병을 결의했다고 발표하면서 합병 비율을 제일모직 0.35에 삼성물산 1로 결정되었다고 공포하였다. 즉 삼성물산 주식의 가치가 제일모직 주식 가치의 3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합병비율 산정근거는 합병 결의 당시 두 회사의 주가였다. 그러나 두 회사의 자본을 비교해 보면 전혀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 삼성물산의 자본총계는 13.7조원, 제일모직의 자본총계는 5.3조원이므로 삼성물산이 제일모직에 비해 2.5배가 넘는다. 또한 영업이익도 삼성물산이 제일모직보다 약 세 배가량 많다. 이에 대해 삼성물산의 주식을 7.12% 보유하고 있던 ‘엘리엇 매니지먼트’를 비롯한 삼성물산 주주 등 이해당사자들은 합병 결정의 부당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2015년 7월 1일 서울지방법원 민사합의 50부는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낸 '삼성물산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결의금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고 삼성 측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 과정에서 제일모직의 회계상 기업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된 기업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기업인 제일모직이 46%의 지분을 보유한 계열사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기업가치가 얼마인가에 따라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비율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당시 기업 평가를 맡았던 안진회계법인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기업 가치를 5조 2,726억 원으로 평가하였는데 이 금액은 업계에서 과대평가되었다는 비판을 받았고 제일모직의 대주주인 이재용에게 유리하도록 분식회계를 통한 회계 조작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직면하였고 그에 대한 논란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참고 자료
금융감독위원회,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48조 제1항 제2호. 2000
안정선 「분식회계 현황과 근절방안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임종옥(2005.7), 「분식회계 적발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이익조작, 산업경제연구원 18권 5호, p 2419」
유형자 「분식회계의 유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