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U 질환 문헌고찰
- 최초 등록일
- 2021.12.06
- 최종 저작일
- 2021.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SICU 질환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stenosis, AS)
2.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본문내용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stenosis, AS)]
: 대동맥판협착증은 만성 판막질환 환자의 1/4에서 발생되며 환자의 80%가 남자이다.
‣ 원인
: 발생원인은 거의 대부분이 류마틱열로 인해 일어나게 되며 노인 환자에게는 대동맥의 죽상경화증으로부터 발생되기도 한다. 또 대동맥관의 선천성 기형이 원인일 수 있다.
‣ 병태생리
: 성인 대동맥 판막 구멍의 정상 면적은 체표면적당 3.0~3.5cm²이며 0.5~0.7cm² 이하로 좁혀지게 되면 심박출량 감소, 폐울혈로 인한 호흡곤란과 협심증, 실신 등이 일어나게 된다. 대동맥 판막구멍의 면적이 점차 좁아짐에 따라 대동맥으로 혈압을 내보내기 위하여 좌심실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좌심실과 대동맥과의 압력의 차이가 생긴다. 압력차가 50mmHg 이상이면 증상이 나타난다. 협착정도가 심할 때는 좌심실의 압력이 150mmHg 이상 올라가기도 한다. 점점 좌짐실이 비후해지고 탄성이 감소되며, 좌심방압 상승, 좌심방 비후가 뒤따르게 된다. 안정 시에 심박출량을 유지할 수 있으나 운동 시에는 심박출량의 증가가 원활하지 않고 더 진행되면 심박출량과 좌심실·대동맥의 압력차가 감소하며 좌심방압, 폐동맥압, 우심실압이 상승하여 좌심부전, 우심부전이 초래된다. 심박출량이 적절하지 못하면 뇌로의 혈류공급이 불충분해져 실신상태가 나타날 수 있고, 심근 허혈로 인한 흉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