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
- 최초 등록일
- 2021.12.01
- 최종 저작일
- 2021.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경기체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경기체가(景幾體歌)
2. 특징
3. 작품
① 한림별곡
② 상대별곡
본문내용
1. 경기체가(景幾體歌)
시가 형태. 고려 고종 때부터 조선 선조까지 약 350년간 계속 되었다. 대부분 ‘경(景) 긔엇 더니잇고’ 또는 ‘경기하여(景畿何如)’라는 구절이 제4 ∙ 6구에 있으므로 붙여진 장르상의 명칭이다. 이 명칭 밖에도 ‘경기하여가(景畿何如歌)’ ∙ ‘경기하여체가(景畿何如體歌)’ ∙ ‘별 곡체(別曲體)’ ∙ ‘별곡체가(別曲體歌)’ 등으로 불린다.
2. 특징
· 국문시가
· 각 8장의 연장체 시가
· 각 장에서 1-4행은 전대절 5-6행은 후소절로 나뉘는 분절 형식
· 보통 4행과 6행에는 ‘경(景) 긔 엇더니잇고’라는 후렴구가 존재
· 전대절과 후소절의 후렴제외 부분에서는 감정, 정서의 개입이 없으며, 사물과 시어의 객관 적인 나열이 드러난다. 후렴구에서는 집약 되었던 정서가 표출됨 → 혼합
· 넓은 의미의 고려가요에 포함
· 우리나라 시가 중 비교적 정형성이 두드러진 시가
3. 작품
① 한림별곡
[1장]
元淳文(원순문) 仁老詩(인로시) 公老四六(공로사육)
李正言(이정언) 陳翰林(진한림) 雙韻走筆(쌍운주필)
沖基對策(충기대책) 光鈞(광균) 經義(경의) 良經詩賦(양경시부)
위 試場ㅅ景(시장경) 긔 엇더니잇고
(葉) 琴學士(금학사)의 玉筍文生(옥순문생) 琴學士(금학사)의 玉筍文生(옥순문생)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주필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아, 과시장(科試場)의 모습 그 어떠합니까
(엽) 금의(琴儀)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금의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아, 나까지 모두 몇 분입니까
[2장]
唐漢書(당한서) 莊老子(장로자) 韓柳文集(한유문집)
李杜集(이두집) 蘭臺集(난대집) 白樂天集(백악천집)
毛詩尙書(모시상서) 周易春秋(주역춘추) 周戴禮記(주대예기)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