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세계통상환경의 변화
- 최초 등록일
- 2021.11.16
- 최종 저작일
- 2021.06
- 48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5,900원

소개글
"코로나 19 세계통상환경의 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 19 사태의 지정학적(geo-political) 영향
1) 코로나와 세계화 취약성
2) 글로벌 리더십 및 국제공조 부재
3) 수출 제한
4) 미중 갈등
5) 중국의 영향력 확대 가능성
2. 코로나 19 이후 통상환경 변화는?
1) 국가개입 확대와 자국기업 지원 강화
2) 자국기업의 저가 매수 방지와 산업보호를 위한 투자 제한 강화 및 국유화
3) 리쇼어링 (국내 생산) 확대 유도
4) 미중 헤게모니 경쟁의 지속 및 심화
5) 온라인 비즈니스의 성장과 디지털무역 국제규범 논의의 진전
6) 요 약 정 리
7) 한국의 대응 방안
3. 세계 통상 환경 이슈 TOP7
1) 코로나19 이후 통상 축의 이동
2) 통상 이슈 TOP7
3) 바이든 新 행정부의 통상 정책
4, 시사점 및 대응 방안
1) 수출입 시장 다변화와 재고 확대
2) 보호 무역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공조 강화
3) 외국인 투자 심사 제도 확충
4) 데이터 경제 활성화
본문내용
→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확산으로 세계화의 취약성이 드러나고, 세계화의 둔화
및 탈세계화가 화두로 떠오름
코로나19의 발발로 원가 절감을 위한 재고 최소화를 위해 원부자재 공급을 소수의 국가에 의존하는 전략을 쓰던 기업들은 치명적인 피해 입었다.
- 국내의 경우 완성차 기업 4곳이 중국산 자동차부품 ‘와이어링 하네스’의 수급 부족
으로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시킨 사례가 대표적 사례가 있다.
미국 및 유럽 국가들은 코로나 19 대응에 필수적인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 재고부족 및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높은 현실을 인식하였다.
- 미국의 경우 일부 개인보호장구의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30~50%를 상회
( 안면 가리개 42%, 보호복 45%, 의료용장갑 39%, 의료용 고글 57%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