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의 문화제적 가치와 국보1호 선정의 논란
- 최초 등록일
- 2021.09.23
- 최종 저작일
- 202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숭례문의 문화제적 가치와 국보1호 선정의 논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숭례문
2. 숭례문의 구조와 설계
Ⅱ. 문화재적 가치
1. 문화재적 가치 유지 여부
2. 국보1호의 상징성
3. 국보 1호의 논란의 선정논란
Ⅲ. 국보1호 변경의 논의
1. 훈민정음 해례본 국보 1호 선정 주장
2. 현행 유지 주장
3. 일련번호 폐지 주장
Ⅳ. 결 론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숭례문
숭례문은 현재 국보 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 남대문로 4가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서울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도 낮춰 불리기도 했었다.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4년(1395)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
2. 숭례문의 구조와 설계
숭례문은 돌을 쌓아 만든 석축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을 두고, 그 위에 앞면 5칸·옆면 2칸 크기로 지은 누각형 2층 건물이다. 지붕은 현재 우진각지붕인데, 수리 할 때 해체하면서 원래는 팔작지붕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다포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조선 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풍수지리적으로 화기를 누르기 위해서 양녕대군이 ‘숭례문’이라는 현판을 세로로 썼다고 전해지며, 숭례문 앞에 있던 연못 역시 화기를 누르기 위해 설치되었다.
Ⅱ. 문화재적 가치
1. 문화재적 가치 유지 여부
세종 15년 7월에 숭례문의 지반을 높이자는 논의가 있었다고 한다. 숭례문 주변의 지형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숭례문이 낮아졌고 이로 인해 여러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최윤정, “1962년 제정 문화재보호법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유동엽, 「‘국보1호’ 등 문화재 지정 번호 개편 검토」, KBS뉴스,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3034474&ref=A
문화재청, 「2015년 주요업무계획」,
오타 히데하루, 「근대 한·일 양국의 성곽인식과 일본의 조선 식민지 정책」, 한국사론 49권,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3
배한철, 「국보1호 해제 서명운동 나선 혜문 스님」, 매일경제, 2014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396524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