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A+] 2022 대선공약제안서 -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새 정부의 조직 개편

민주주의와 행정에 대해서 배우는 강의에서 제출하여 A+ 받은 레포트입니다. 차후 2022년에 있을 대선 공약을 제안하는 제안서로 새로운 정부의 조직 개편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습니다.
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1.08.15 최종저작일 2021.06
8P 미리보기
[A+] 2022 대선공약제안서 -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새 정부의 조직 개편
  • 미리보기

    소개

    민주주의와 행정에 대해서 배우는 강의에서 제출하여 A+ 받은 레포트입니다. 차후 2022년에 있을 대선 공약을 제안하는 제안서로 새로운 정부의 조직 개편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습니다.

    목차

    1. 공약 1 :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를 통합하여 인적자원부 신설
    2. 공약 2 : 여성가족부의 발전적 해체와 각 부처 업무 이관
    3. 공약 3 : 인구가족복지부의 신설
    4. 참고자료

    본문내용

    현재 한국 사회가 처해 있는 이러한 경제적, 사회적 위기의 원인을 무엇으로 정의 할 수 있을까 고민하였고, 이를 ‘재생산의 위기’로 정의하고자 한다. 재생산은 ‘순환 적인 전체 사회 생활의 과정(사회의 유지, 변화, 발전)이 순탄하게 반복되는 것’으로 이러한 재생산의 관점에서 2022년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키워드는 ‘지속 가능한 재생산’과 ‘민주주의의 회복’이다.
    현재 우리는 경제적 재생산, 사회적 재생산, 생물학적 재생산에 부딪혔다. 첫째, 경 제적 재생산에 있어서는 고용불안과 실업의 문제가 심각하다. 기본적인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들은 불안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불안 은 곧 불만으로 진화하게 되고, 불만을 표출할 대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내가 아닌 누군가를 탓하기 시작한다. 이로써 건설적인 논의보다는 감정적인 싸움, 비생산적인 갈등, 갈라치기 현상이 양산될 수 있다.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 여성 할 당제 및 가산점제에 대해서 반발(특히 청년층)이 심했던 것이 이러한 맥락에서 일 어난 것이라고 본다. 당장 먹고 살고 취업하는 문제가 바쁜 상황에서, 나의 의견을 표출할 기회도 없이 일방적인 정책 시행으로 취업 시장에서의 문이 좁아지는 경험 을 한 이상 열린 마음을 갖기란 쉽지 않다. 내 삶이 안정적이라면, 불안과 불만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이성적으로 정치적, 사회적인 논의와 민주적인 대화가 가능하 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집단의 누군가를 위해 나의 자리를 포기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민생의 안정 없이 ‘정부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공정과 평등’ 만을 강조한다면 국민들의 공감을 얻기가 어렵고 민주적 정당성 역시 확보하기 힘 들다. 두 번째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정책 실패, 재정적 위 기, 시민사회의 저항이나 분열 등으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유팔무 (2015). 21세기 한국 사회 재생산의 위기와 복지국가 대안 논의. 경제와사회. 106, 296-324
    · “20년째 맴도는 여성가족부 폐지 목소리 靑 청원만 1500개 넘어”, 뉴시스, 2021.03.20., 2021.05.15.
    ·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18_0001375890&cID=10201&pID=10200
    · “국무총리 산하 양성평등위원회 회의 소집 0번”, 여성신문, 2019.01.05., 2021.05.16.,
    ·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3932
    · “대통령 직속 성평등위원회 설치 현 정권 임기내 어렵다”, 연합뉴스, 2021.05.16., 2021.05.16.,
    · https://www.yna.co.kr/view/AKR20210514116100530?input=1195m
    · “유승민 文은 저출산 문제 포기한 대통령”, 한국경제, 2021.02.25., 2021.05.15.
    ·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2256963i
    · “유승민 반여성적인 여성가족부, 이참에 폐지하자”, 한국경제, 2020.11.06., 2021.05.15.
    ·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110619617
    · “청년의 목소리가 사라져간다 [류근관의 통계산책]”, 머니투데이, 2021.05.12., 2021.05.15.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51014593151175
    · “출산 절벽에 인구학자 조영태 젊은 층의 생존 본능 아닐까요,” 연합뉴스, 2021.02.26., 2021.05.15.
    ·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5178000002?input=1195m
    · 고용노동부 조직도 http://www.moel.go.kr/agency/org/ministry/list.do
    · 교육부 조직도 https://www.moe.go.kr/sub/info.do?m=0604
    · 보건복지부 조직도
    · http://www.mohw.go.kr/react/sg/ssg0101mn.jsp?PAR_MENU_ID=05&MENU_ID=050201
    · 여성가족부 조직도 http://www.mogef.go.kr/mi/osg/mi_osg_s001.do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